[단독] 국힘, 내달 2∼3일 대선 후보 선출… “경선 과정 잡음 줄이는 것도 중요”

입력 2025-04-08 18:54

국민의힘 대선 경선 선거관리위원회가 다음 달 2~3일 대선 후보를 선출하는 전당대회 개최를 검토 중인 것으로 8일 전해졌다. 공직자 사퇴시한(5월 4일) 이전에 최종 후보 선출 절차를 마무리하되 경선 기간을 최대한 늘리겠다는 방안이다. 경선 일정 자체가 빠듯한 만큼 TV토론회는 3회가량으로 최소화하는 방안에 무게를 두는 것으로 알려졌다.

복수의 국민의힘 관계자에 따르면 당 선관위는 9일 1차 회의를 열고 이런 내용의 경선 일정과 방식 등을 논의해 확정할 계획이다. 6월 3일 치러지는 이번 대선 일정상 각 당은 중앙선관위에 다음 달 10~11일 대선 후보를 등록해야 한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후보등록 시점까지 여유가 있지만 공직자 사퇴시한을 넘기면서까지 경선을 해야 할 필요는 없다는 게 중론”이라고 말했다.

현재 대선 출마를 선언했거나 검토 중인 국민의힘 주자들은 15명 안팎에 이르고 있고, 이 가운데 광역자치단체장 등 공직자도 다수 포함돼 있다. 이들이 현 공직을 내려놓지 않고 경선에 참여할 수 있도록 기간 안배를 하기로 했다는 의미다.

국민의힘은 경선 흥행 효과를 위해 최대한 많은 후보를 레이스에 참여시킨다는 구상이다. 다른 당 관계자는 “후보들이 지지율이 낮은 상황에서는 경선 흥행이 가장 중요하다”며 “어떤 후보라도 바람이 불어야 한다”고 말했다.

선관위는 예비경선(컷오프)을 한 차례로 끝내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통상 대선의 경우 두세 차례 컷오프를 진행해 왔지만 이번에는 초단기로 치러지는 경선인 만큼 컷오프로 인한 잡음을 최소화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경선 TV토론회도 세 차례 정도로 줄이는 방안이 유력하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경선에서 후보 간 경쟁이 과열될 경우 생중계되는 TV토론회가 집안 내부의 제 살 깎아먹기 양상이 될 수 있다”며 “후보를 알리는 것도 중요하지만 경선 과정에서 흠이 나지 않게 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경선룰은 현행 당헌·당규에 규정된 ‘당원투표 50%, 일반 국민 여론조사 50%’(본경선 기준)가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이강민 기자 riv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