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권 도전을 위한 홍준표 대구시장의 시장직 사퇴가 현실화되면서 대구시장 권한대행 체제가 본격화 될 전망이다. 민선8기 역점 사업들을 성공적으로 이어나가는 것이 권한대행 집행부에게 남겨진 숙제다.
8일 대구시 등에 따르면 홍 시장 퇴임식은 11일 열릴 예정이다. 이미 사표를 낸 경제부시장을 비롯해 정무직 공무원 10여명 정도가 홍 시장과 함께 대구시를 떠날 예정이다. 정무직 공무원 사퇴의 경우 신원조회 절차 등 사표수리까지 통상 2주가 소요되지만 시장이 사퇴한 이후 정무직 공무원이 사퇴하면 즉각 당연 퇴직 처리된다.
올해 초 임명된 김정기 대구시 행정부시장이 시장 권한대행을 맡게 된다. 차기 경제부시장으로는 홍성주 재난안전실장이 내정된 것으로 알려졌다. 시는 국·실장 후속 인사를 단행해 조속히 조직을 정비할 계획이다.
대구시는 탄핵 정국으로 혼란했던 지난해 말부터 조기 대선 상황을 포함한 모든 경우를 상정해 대비책을 준비해왔다고 전했다. 준비를 많이 했기 때문에 시정이 흔들릴 일은 없다는 입장이다.
홍 시장은 최근 간부회의에서 “나는 한때 지나가는 바람에 불과하지만 변화와 혁신의 중심축은 공직자와 대구시민인 만큼 앞으로도 행정부시장을 중심으로 대구시의 모든 업무가 흔들림 없이 추진되도록 힘을 모아달라”고 당부했다. 홍 시장은 8일 기자들을 만나서도 “대구시 현안 사업 진행을 위한 준비는 모두 마쳤다”며 “이제는 공무원들의 실무만 남았다”고 말했다.
대구시는 대구·경북 역대 최대 사업으로 꼽히는 대구경북신공항 건설을 비롯해 대구경북행정통합, 군부대 통합 이전, 신청사 건설 등 굵직한 현안 사업들을 추진 중이다. 상당부분 진전을 이뤄 이행 단계만 남은 사업들이 많다.
대구경북신공항 사업은 사업 진행에 꼭 필요한 공자기금 융자를 위한 특별법 2차 개정안 통과만 남겨놓고 있다. 군부대 통합 이전은 이전지를 결정하고 개발 청사진까지 나온 상태다. 행정통합도 탄핵 정국에 잠시 멈췄지만 시대적 요구 사항이라 다시 논의될 가능성이 높다. 신청사 건설도 올해부터 본격화될 예정이다. 대구시는 지역 현안 사업을 대선 공약화하는 작업도 준비 중이다.
그러나 아직 안심하기는 이르다는 평가도 나오고 있다. 조기 대선 후 대통령이 누가 되는지에 따라 대구시 현안 사업 환경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