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여사 이번엔 검찰청서 조사 방침… 明 ‘무상 여론조사’ 등 확인

입력 2025-04-08 02:26
윤석열 전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 연합뉴스

검찰은 김건희 여사가 지난 대선부터 최근 총선까지 명태균씨와 긴밀하게 소통한 만큼 검찰청 대면 조사가 불가피하다는 방침을 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김 여사가 무상 여론조사 제공 및 공천개입 정황을 인지하고 있을 가능성이 크다고 의심한다. 김 여사를 상대로 사실관계를 확인한 뒤 윤석열 전 대통령을 소환하는 수순을 밟을 것으로 예상된다.

7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명태균 의혹 전담수사팀(팀장 이지형 차장검사)은 22대 대통령 선거 때부터 지난해 국회의원 선거까지 김 여사와 명씨가 주고받은 카카오톡 메시지와 통화 녹음 등을 다수 확보해 수사 중이다. 명씨는 당내 경선을 앞둔 2021년 6월 29일 김 여사에게 윤 전 대통령의 언론 대응법을 조언하는 메시지를 보낸 것으로 파악됐다. 김 여사는 윤 전 대통령 당선 후 해외 순방 일정 등에 대해서도 명씨로부터 의견을 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명씨가 대선 경선 기간 여러 차례 여론조사 결과를 김 여사에게 전달한 정황도 드러났다. 명씨는 2021년 7월 3일 “보안 유지 부탁드린다”며 공표 예정인 여론조사 자료를 보냈고, 김 여사는 “충성”이라고 답했다. 지난해 11월 작성된 검찰 수사보고서에는 명씨가 김 여사에게 4건의 여론조사 자료를 공표 전 제공한 정황이 담겼다. 검찰은 이런 메시지를 김 여사에게 제시하고 여론조사 자료를 무상으로 받고 있다는 사실을 인지했는지 캐물을 것으로 보인다.

검찰은 명씨가 여론조사 비용 대신 김영선 전 의원 공천을 받은 것으로 의심되는 진술도 확보했다. 김 전 의원 회계책임자 강혜경씨는 검찰 조사에서 ‘명씨가 대선이 끝나고 여론조사 비용 청구서를 들고 김 여사를 만나러 간다고 했다. 명씨가 대선을 도와준 대가로 (김 전 의원이) 공천된 것이라고 했다’는 취지로 진술했다.

특히 김 전 의원 공천 발표 전날인 2022년 5월 9일 명씨는 윤 전 대통령뿐 아니라 김 여사에게도 도움을 요청한 것으로 조사됐다. 당시 김 여사는 명씨에게 “당선인(윤 전 대통령)이 ‘그냥 (김 전 의원 공천을) 밀라’고 했다”고 말했다고 한다. 검찰은 김 여사에게 ‘윤 전 대통령이 국민의힘 공천관리위원회를 압박했는지’ 등을 조사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4·10 총선 당시 공천 개입 의혹도 조사 대상이다. 명씨 측이 공개한 지난해 2월 16~19일 통화 복기록에 따르면 김 여사는 “김상민이 경남 창원의창구 국회의원 되게 도와 달라”고 명씨에게 언급했다. 명씨는 “김상민을 내리꽂으면 가만히 안 있겠다”며 반대했다고 한다.

검찰은 명씨를 둘러싼 의혹을 조사하려면 김 여사 대면조사가 필요하다고 판단한 것으로 전해졌다. 관건은 조사 시점이다. 검찰 안팎에선 조기 대선 일정이 본격화하기 전에 검찰이 조사에 속도를 낼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서초동의 한 변호사는 “이미 수사가 지체됐다는 지적이 나오는 상황이고 윤 전 대통령이 파면된 만큼 검찰이 더 시간을 끌긴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김재환 기자 j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