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관세 직격탄’ 기업 긴급 수혈… 100조 시장안정프로그램 가동

입력 2025-04-08 00:19 수정 2025-04-08 00:19
연합뉴스

금융 당국이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로 직격탄을 맞은 기업에 긴급 자금 지원을 한다. 5대 금융지주를 중심으로 수출입 기업 등에 적극적 자금 공급을 유도하는 한편 100조원 규모의 시장안정프로그램 집행에도 착수한다.

김병환(사진) 금융위원장은 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금융상황 점검회의’를 열고 5대 금융지주와 정책금융기관 수장들에게 “금융시장 안정과 함께 기업 등 실물 부문 자금 지원에 더 적극적 역할을 해 달라”고 당부했다.

김 위원장은 특히 “미국 상호관세 부과로 직접 영향을 받는 수출기업은 물론 협력업체들의 경영이 어려워질 것으로 우려된다”며 “현장에서 거래 기업들의 상황과 영향을 밀착 점검하고 필요한 자금공급과 지원이 적시에 이뤄질 수 있도록 각별히 챙겨 달라”고 강조했다.

회의에선 자동차, 반도체 등이 적시 지원 산업으로 거론된 것으로 전해졌다. 금융 당국은 통상 전쟁에 대비해 추진 중인 50조원 규모의 첨단전략산업기금 조성에도 속도를 내기로 했다. 시장 상황에 따라 유동성 공급 등 필요한 조처가 언제든 취해질 수 있도록 약 100조원 규모의 시장안정프로그램 준비와 집행에도 만전을 기하기로 했다.

금융지주들은 곧바로 지원 안을 내놨다. 5대 금융지주의 긴급 지원 규모는 ‘25조+a’로 예상된다. 먼저 KB금융은 점검회의 직후 KB국민은행을 통해 8조원 규모의 금리 우대 프로그램 운영 계획을 밝혔다. 신용보증기금과 기술보증기금에 230억원을 특별출연해 8400억원 규모의 보증서 공급으로 제조업체, 수출업체 등에 대한 금융 지원도 강화하기로 했다. 관세 직격탄을 맞는 자동차 관련 업체에 1500억원 규모의 동반성장 상생대출 공급 계획도 밝혔다.

신한금융은 국내 수출 기업을 포함한 중소기업, 소상공인에 10조5000억원 규모의 금융지원을 실시하기로 했다. 우리금융도 임종룡 회장 주재로 ‘상호관세 피해 지원 태스크포스(TF)’ 회의를 열고 관세 충격이 큰 수출입 기업을 최우선으로 지원하겠다고 전했다. 하나금융은 지난 3일 발표한 6조3000억원 규모의 긴급 금융 지원을 차질 없이 수행하기로 했다. NH농협금융도 구체적 지원 프로그램을 고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황인호 기자 inhovato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