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단기 승부’ 조기대선 판 흔들 3대 변수

입력 2025-04-08 02:23 수정 2025-04-08 02:23
경기도 과천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7일 제21대 대통령선거 예비후보자 등록장소가 설치돼 있다. 각 정당은 오는 6월 3일로 예정된 조기 대선을 위해 당 조직을 정비하는 등 대선체제로 전환했다. 과천=권현구 기자

조기 대선일이 오는 6월 3일로 사실상 결정된 상황에서 정치권은 주요 ‘3대 변수’를 주목하고 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범진보 진영의 확고한 ‘1강’ 체제를 구축한 상황에서 누가 보수진영 최종 후보가 될지와 윤석열 전 대통령의 영향력, ‘반(反) 이재명’ 정서, 개헌을 고리로 한 정치연대의 유무가 서로 얽혀 유권자들의 표심을 자극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번 대선의 최대 변수는 우선 보수진영 후보로 누가 선출되느냐가 꼽힌다. 현재 국민의힘에서는 10여명이 경선 출마 후보로 거론된다.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7일 통화에서 “간단히 말해 윤 전 대통령 탄핵에 찬성했던 후보냐, 반대했던 후보냐가 기준이 될 수 있다”며 “전자의 경우라면 민주당이 앞세우는 ‘내란 옹호 세력 대 민주주의 수호 세력’의 프레임이 제대로 먹히지 않을 수 있다”고 말했다. 윤 전 대통령 파면에 따라 민주당이 우위에 선 여론 지형이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는 뜻이다.

국민의힘 후보 선출은 보수 강경 유권자들의 존재와도 맞닿아 있다. 윤 전 대통령 탄핵 국면을 거치며 세력이 결집된 만큼 정치적 영향력도 커졌기 때문이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국민의힘 입장에선 극우세력과 연대를 하자니 중도층이 떠나고, 그렇다고 떨쳐내자니 규모가 작지 않은 상황”이라며 “(탄핵 반대 진영에서) 자체 후보를 낼 가능성까지 고려하면 국민의힘의 ‘극우 거리 조절’은 매우 중대한 변수”라고 설명했다.

강경 보수와의 거리두기는 ‘윤심’(윤 전 대통령 의중)이 경선에 미칠 영향과도 연결돼 있다. 신 교수는 “윤 전 대통령이 정치세력화를 도모하며 지지자들에게 계속 메시지를 보낼 것인지가 중요하다”며 “경선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진 않더라도 불안감을 조성함으로써 (중도층 여론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고 내다봤다.

민주당 유력 대선주자인 이 대표를 따라다니는 ‘비토론’도 핵심 변수다. 대법원 선고를 앞둔 공직선거법 사건 외에도 4개의 재판이 진행 중이라 언제든 중도·보수층 표심을 자극할 수 있다.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당 사무처 당직자 조회에서 “이번 대선은 단순히 정권 재창출이 목적이 아니라 자유민주주의와 대한민국 체제를 수호하는 싸움”이라며 보수층의 결집을 호소했다.

개헌을 매개로 이 대표와 맞설 연대가 가시화될 가능성도 있다. 이 대표를 제외한 주요 대권 주자들이 개헌에 적극적인 가운데 이 대표가 개헌론에 포위되는 구도가 만들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조진만 덕성여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이 대표가 개헌 이슈에서 빌미를 줘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면 중도층에서 마이너스의 정치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김두관 전 민주당 의원은 개헌을 전면에 내걸며 대선 출사표를 냈다. 김 전 의원은 출마 선언에서 “‘개헌 대통령’이라는 이름으로 출마를 결심했다. 제7공화국을 여는 개헌 대통령이 되겠다”며 “‘어대명’(어차피 대선후보는 이재명) 경선으로는 본선 승리가 어렵다”고 주장했다.

박장군 송경모 기자 genera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