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조기 대선은 이재명·민주당 심판 선거”… ‘벌떼 타선’으로 맞선다

입력 2025-04-07 23:02
권영세(가운데)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7일 국회에서 열린 비대위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국민의힘은 첨단산업 육성, 규제 완화 등 7대 정책 비전을 제시했다. 최현규 기자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7일 “다가오는 조기 대선은 이재명과 민주당을 심판하는 선거가 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이 지난 4일 파면된 이후 사흘 만에 ‘반(反)이재명’ 기치를 대선 승리 전략으로 들고 나온 것이다.

국민의힘은 대선 경선에 최대한 많은 주자를 참여시키는 ‘벌떼 타선’ 전략을 펼칠 전망이다. ‘어대명’(어차피 대선후보는 이재명)이라는 평가가 나오는 더불어민주당 경선과 대비되는 효과를 노리겠다는 의도로 해석된다.

권 원내대표는 비상대책위원회회의에서 “윤 전 대통령은 법적으로 심판받았지만 민주당은 자신이 초래한 국정 혼란에 대해 그 어떤 책임도 지지 않았다”며 “이재명 세력을 막아내는 게 국가 정상화의 시발점”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국민의힘은 이재명 세력의 폭주를 막아낼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대안”이라고 덧붙였다.

권영세 비대위원장도 “민주당은 대통령 탄핵이 이재명과 민주당의 면죄부가 아닌 것을 깨달아야 한다”며 “이 모든 사태를 불러온 기저에는 이재명 방탄이라는 불순한 동기가 있음을 이미 많은 국민이 알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는 ‘1강’인 이 대표의 지지세 못지않게 중도층을 중심으로 ‘반명(反明)’ 정서가 공고한 점을 노린 것으로 평가된다. 지난 4일 발표된 한국갤럽의 장래 정치 지도자 선호도 조사 1위는 이 대표(34%)였는데, 이는 ‘의견유보’(38%)보다 4% 포인트 낮은 수치였다(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국민의힘 관계자는 “이 대표가 아직 안정적인 과반을 확보하지 못했고, 비호감 정서가 오히려 심화되는 점을 겨냥한 것 아니겠느냐”고 말했다.

보수에 뚜렷한 대세 주자가 없는 만큼 치열한 경선을 통한 흥행 효과도 국민의힘이 기대를 거는 지점이다. 한 지도부 관계자는 “조금이라도 의사가 있는 보수 진영 주자들은 모두 들어와 경선을 치러야 한다는 게 지도부의 기조”라며 “여러 주자들이 경선 과정에서 다양한 쇄신·개혁안을 들고 경합하게 되면 경선 자체를 쇄신의 장으로 만들 수 있다”고 밝혔다.

국민의힘은 대선 민심을 겨냥한 정책 발굴도 본격화하고 있다. 김상훈 정책위의장은 “다가오는 대선은 대한민국이 미래로 나아갈 수 있느냐, 정체될 것이냐를 가르는 중요한 분기점이 될 것”이라며 7가지 정책공약 과제를 제시했다. 여기에는 첨단산업 육성과 각종 규제 완화, 사회적 약자를 위한 복지국가, 저출생·고령화 문제 및 기후위기 대응, 지방 균형발전, 청년 지원 정책, 재난과 범죄로부터 안전한 나라 등이 포함됐다.

다만 일각에서는 대선 레이스의 출발선에서부터 네거티브 공세를 기본 틀로 삼은 데 대한 우려도 나온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반이재명’이 우선은 당 분열을 막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면서도 “결국은 보수정당으로서 대한민국 미래에 대한 고민이 없고, ‘철학의 부재’라는 비판이 나올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구자창 이강민 기자 criti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