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PU(그래픽처리장치) 구매가 매우 시급한데 추경 없인 올해 GPU를 수급할 수 없습니다. (AI 선도국과의 격차가) 현재 1년에서 자칫하면 4년 이상으로 벌어질 수도 있는 문제입니다.”
유상임(사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인공지능(AI) 글로벌 경쟁에서 한국이 뒤처지지 않기 위해 추경을 통한 컴퓨팅 능력 조기 확보가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조기 대선일이 6월 3일로 잠정 결정되며 사실상 임기가 두달 남짓 남은 상황에서 유 장관은 남은 임기를 국가 AI 역량 강화와 기술사업화 방안 마련에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유 장관은 7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국정핵심과제 3차 국민브리핑을 열고 “(올 상반기) 추경에 AI 컴퓨팅 능력과 인재 확보를 위한 예산이 같이 포함되어야 한다”며 “여야가 국가의 미래를 생각해 조속한 시일 내에 합의해주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현행 계획대로라면 AI 컴퓨팅 능력 확보 임무를 맡은 국가AI컴퓨팅센터는 오는 9월 컨소시엄 선정 이후에야 GPU 주문을 시작할 수 있다. 이 경우 내년에야 GPU 도입이 가능해져 연구원·스타트업 등이 제때 연구를 수행하지 못하는 상황이 우려된다. 세계 최고 수준 AI 모델 개발을 목표로 정부가 연구진에게 AI 컴퓨팅 능력을 지원하는 ‘월드 베스트 LLM(거대언어모델)’ 사업 역시 추경을 전제로 하고 있다. 유 장관은 “윤석열 대통령 파면이라는 초유의 상황이 벌어졌지만 과학기술·정보통신 분야의 발전은 멈춰선 안된다”고 말했다.
유 장관은 취임 초부터 ‘직을 걸겠다’고 표현할 정도로 중점 사업으로 추진해왔던 기술사업화 기반 마련에도 노력할 뜻을 내비쳤다. 범부처 기술사업화는 기초 연구의 성과를 산업에 적용해 국가 경제 성장에 기여할 수 있도록 생태계를 만드는 사업이다. 이달 내 기술사업화 비전을 발표하고 과기정통부가 주도하는 정보통신기술(ICT) 분야에 한해서라도 두달 내 계획을 내놓겠다는 입장이다. 미국 에너지부가 한국을 ‘민감국가’로 지정한 문제에 대해서는 해제를 위해 노력하겠다면서도 “오는 15일 발효 이전 해제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말했다. 미 국립과학재단(NSF) 등 과기정통부의 유관 기관을 통해 지속적으로 해제를 요청하겠다는 입장이다.
과기정통부의 향후 발전 방향에 대한 제언도 나왔다. 유 장관은 “과기정통부는 AI·바이오·양자 3대 핵심 과제를 책임지는 부서인 만큼 조직 규모 확대가 필요하다고 본다”라며 “개인적으로는 다음 정부에서 부총리급으로 직을 격상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언급했다.
세종=윤준식 기자 semipr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