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가 인공지능(AI) 기반 보이스피싱 탐지 서비스를 통해 두 달 동안 약 160억원 규모의 피해를 예방했다.
KT는 지난 1월 22일 서비스 출시 이후 ‘주의’ 또는 ‘위험’ 등급으로 탐지된 보이스피싱 통화 1528건을 분석한 결과, 탐지 정확도가 90.3%에 달했다고 7일 밝혔다. 이 중 392건(25%)은 경찰청의 보이스피싱 블랙리스트 또는 검찰·경찰 사칭 사례로 확인됐다.
KT는 서울경찰청과 협력해 자체 개발한 보이스피싱 탐지 기술과 경찰이 확보한 악성 앱 설치 URL을 연계해 실제 보이스피싱 피해를 차단하는 데도 기여했다.
보이스피싱 의심 번호와 통화한 고객이 해당 URL에 접속한 3667건의 사례를 서울경찰청에 제공했고, 경찰은 이를 바탕으로 피해자와 연락해 실제 피해를 사전에 방지했다. 카드 배송을 사칭한 보이스피싱을 피해자의 계좌를 정지해 막았고, 검찰 사칭 피싱범에게 수표 1억원을 전달하려던 피해도 막을 수 있었다.
KT는 이 같은 성과를 바탕으로 케이뱅크와 협력해 금융권 최초로 AI 기반 보이스피싱 실시간 탐지 기술을 적용한다. 이를 통해 출금 정지 등 직접적인 금융 사기에 대응한다는 계획이다.
심희정 기자 simci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