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국면을 뒤로하고 조기 대선 정국의 막이 올랐다. 야권에서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독주 체제’가 예상된다. 국민의힘으로서는 탄핵으로 악화된 여론 지형을 극복하고 이 대표와 민심을 두고 경쟁할 대항마를 세울 수 있느냐가 관건인 상황이다. 21대 대통령 선출을 위한 초단기 대선 레이스는 민주당 내부 경선부터 본선까지 ‘이재명이냐 아니냐’의 구도로 전개될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은 8일 국무회의를 열어 대선 일정을 확정할 예정이다. 헌법이 보장한 60일의 선거 기간을 꽉 채운 6월 3일이 대선일로 유력하다. 각 정당은 공식 대선일 지정을 신호탄으로 본격적인 경선 일정에 돌입하게 된다.
현직 장관과 지방자치단체장 등의 대선 출마를 위한 사퇴 시한은 다음 달 4일이다. 이에 따라 늦어도 이달 말까지는 각 당의 대선 후보가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이 대표는 이르면 8일 대표직을 내려놓고 대선 출마를 선언할 것으로 알려졌다. 김동연 경기지사와 김부겸 전 국무총리, 김경수 전 경남지사 등 비명(비이재명)계 주자들도 경선 경쟁에 합류할 예정이다. ‘어대명’(어차피 대선후보는 이재명) 기류가 확연한 내부 경선에서 어떻게 국민적 관심을 끌어내느냐가 민주당의 주요 고민 지점이다.
본선에서는 각종 여론조사에서 30~40% 수준으로 집계되는 중도층·무당층 표심을 얻는 일이 민주당의 최대 숙제다. 민주당 관계자는 6일 “탄핵 국면에서 반으로 갈라진 광장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이번 대선도 결국 박빙의 싸움이 될 것”이라며 “중도층 유권자를 한 명이라도 더 가져오는 쪽이 승리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국민의힘은 최근 8년 사이 당이 배출한 대통령 두 명이 파면된 만큼 불리한 여건 속에서 조기 대선 국면을 맞게 됐다. 그나마 ‘반(反) 이재명 정서’가 만만치 않다는 점에 기대를 거는 분위기다. 경선 과정 역시 이 대표와 본선에서 맞붙어 득표 경쟁력을 보일 후보를 세우는 데 초점이 맞춰질 것으로 보인다. 국민의힘 지도부 핵심 관계자는 “윤 전 대통령이 퇴장한 만큼 그 대척점에 있는 이 대표의 자격에 대한 의구심도 커지지 않겠나”라고 말했다.
국민의힘은 의원총회를 열어 7일 비상대책위원회를 거쳐 대선 후보 선출을 위한 선거관리위원회를 출범시키기로 했다. 일부 의원들이 당 지도부 사퇴를 요구했지만, 결국 박수로 현 지도부 재신임을 추인했다. 권영세 비대위원장은 이후 “대선 승리가 대한민국을 지키는 것이고 그것이 우리의 사명”이라고 말했다.
최승욱 정현수 기자 apples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