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기업 퇴출에 볕드는 K태양광… 배터리도 반사이익 기대

입력 2025-04-06 23:26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촉발한 관세 전쟁이 일부 국내 산업계에는 기회가 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미국 현지 생산이 가능한 국내 태양광·배터리 업체들이 중국을 대신해 미국 시장 내 입지를 넓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면서다.

6일 업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주 전방위적인 상호관세를 부과하면서 미국 시장에 선제적으로 진출했던 한화솔루션, OCI홀딩스 등 태양광 업체들은 관세 부과 영향과 그에 따른 전략 점검에 나서고 있다.

이들 기업은 현지 생산이 가능해 관세 영향이 비교적 적다는 점에서 중국 기업에 비교 우위를 점할 수 있다는 기대를 하고 있다. 한화솔루션 큐셀부문(한화큐셀)은 태양광 모듈 매출의 70~80%가 미국에서 발생한다.

현지 공장 증설도 이뤄지고 있다. 한화큐셀은 3조2000억원을 투자해 미국에 태양광 생산 시설인 ‘솔라허브’를 구축하는 중이다. 상업 가동을 시작하면 태양광 모듈 생산 능력은 8.4기가와트(GW)로 늘어난다. OCI홀딩스도 2026년까지 미국에 2GW 규모의 태양광 셀 공장을 증설한다는 계획을 내놨다. 미국 내 태양광 셀 생산 능력이 연간 수요 대비 90% 부족한 상황에서 대중국 관세 강화 가능성이 커지자 선제 대응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상대적으로 중국의 영향력은 약화할 수밖에 없다. 미국 태양광 시장에서 70% 수준의 점유율을 차지하는 중국은 태양광 패널을 말레이시아, 베트남, 캄보디아, 태국 등에서 생산하고 있다. 미국이 이를 겨냥해 관세율을 높이자 중국은 인도네시아, 라오스 등으로 생산기지를 다변화하는 데 나섰다. 하지만 미국이 인도네시아 수입품에 32%, 라오스에 48%의 상호관세를 설정하면서 이마저도 여의치 않은 상황이 됐다.

중국발 태양광 모듈 물량이 줄면 공급이 부족해져 판가 상승도 기대할 수 있다. 위정원 대신증권 연구원은 “관세 장벽에 따른 북미 지역 내 태양광 모듈 수급 개선은 판가 인상 요소로 작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에너지저장장치(ESS)도 중장기적으로 국내 기업의 반사이익이 예상되는 분야다. 트럼프 행정부가 배터리 부품 전반에 25%의 관세를 부과한 가운데 중국산 배터리에는 이보다 높은 34%의 관세를 책정하면서다. 이에 더해 미 하원은 지난달 국토안보부(DHS)의 예산이 투입되는 사업에서 CATL, 비야디(BYD) 등 중국 배터리 기업 6곳의 제품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해외 적대국 배터리 의존도 감소법’을 통과시켰다. 법안에 중국 기업 명단이 직접 명시돼 있어 우회 수출도 원천 차단된다.

배터리 업계 관계자는 “단기적으로 국내 기업도 관세 인상의 영향을 받지만, 중국 경쟁사들에 비해 낮은 관세율을 적용받고 있다”며 “현지 생산 확대 전략을 통해 비교적 유리한 고지를 선점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임송수 백재연 기자 songst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