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찾은 트럼프 측근 플라이츠 “상호관세, 협상 거치면서 바뀔 것”

입력 2025-04-04 02:37
프레드 플라이츠 AFPI 부소장이 3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세종연구소 주최로 열린 제40차 세종국가전략포럼을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측근으로 꼽히는 프레드 플라이츠 미국우선주의정책연구소(AFPI) 부소장은 3일 미국이 한국에 26% 상호관세를 부과하기로 한 데 대해 “협상을 거치면서 바뀔 것”이라고 밝혔다.

플라이츠 부소장은 3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제40차 세종국가전략포럼에 참석해 “(상호관세 부과는) 논란이 많지만 협상의 신호탄”이라며 “위험한 상황이라고 보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또 트럼프 행정부의 기조는 ‘반동맹’이 아닌 ‘공평한 동맹관계’라면서 “트럼프가 원하는 건 공정한 무역이며 관세 부과는 협상의 여지가 있다”고 설명했다.

플라이츠 부소장은 “한·미 간에 여러 딜(거래)을 할 수 있는 상황”이라며 한국이 관세뿐 아니라 알래스카 액화천연가스(LNG) 사업이나 조선 등 분야에서 협력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그는 “(LNG 사업 참여는) 한국의 장기적 에너지 안보에 큰 득이 될 것”이라며 “차기 한국 정부에서는 에너지 관계 개선이 우선됐으면 한다”고 강조했다. 또 중국의 위협을 거론하며 “미국은 해군 함정 분야에서 한국의 도움이 절실하고, 이미 (한·미 간) 관련 논의가 진행 중인 것으로 알고 있고 진전이 있으리라 본다”고 말했다.

플라이츠 부소장은 한·미동맹과 관련해 “트럼프는 일부 동맹과 대립적인 태도를 보였던 것과 달리 아시아·태평양 지역 동맹국들과의 관계는 우호적 기조를 유지하면서 북·중·러 위협에 공동 대응하는 방향으로 갈 것”이라고 내다봤다. 또 조 바이든 정부 때 진행된 ‘워싱턴선언’과 한·미 핵협의그룹(NCG), 한·미·일 3국 협력 등도 계속 지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만남에 대해서는 “일정한 조건을 충족한다면 직접 외교를 재개하려는 의지를 보일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한·미·일 고위급 협의를 선행한 뒤 정상회담을 추진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플라이츠 부소장은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전망을 묻는 말에 “한국 내정에 간섭하고 싶지 않다”며 말을 아꼈다. 그는 다만 “트럼프가 ‘윤 대통령이 탄핵(소추)만 안 됐으면 얘기해보고 싶다’는 말을 한 적이 있다”고 전했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도 1기 때 탄핵소추 등을 당했던 것을 언급하면서 “윤 대통령과 지지자들에 대해 어느 정도 공감할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플라이츠 부소장은 트럼프 1기 행정부에서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비서실장을 지냈고, 트럼프 2기 정권인수위원회에서도 활동했다.

박준상 기자 junwit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