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10명 중 4명 이상이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가 자신의 생각과 다르다면 수용하지 않겠다고 답한 여론조사 결과가 3일 발표됐다. 응답자 절반가량은 어떤 쪽이라도 헌법재판소 결정에 승복하겠다고 했지만, 야당 지지층을 비롯한 윤 대통령 파면을 바라는 측에서는 ‘기각 시 불복’ 입장이 훨씬 많았다.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를 하루 앞둔 상황에서도 여야는 ‘그쪽이 승복하라’는 식의 신경전만 이어갔다.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가 지난달 31일부터 2일까지 만 18세 이상 남녀 1001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전국지표조사(표본오차 95% 신뢰 수준에서 ±3.1% 포인트)에서 ‘탄핵 찬성’ 의견은 57%, ‘탄핵 반대’ 의견은 35%로 집계됐다.
헌재의 탄핵심판 결정에 대한 ‘승복 여론’은 높지 않았다. ‘내 생각과 달라도 수용하겠다’는 의견은 50%, ‘내 생각과 다르면 수용하지 않겠다’는 응답은 44%였다. 탄핵에 찬성 입장을 밝힌 응답자의 51%는 ‘내 생각과 다르면 수용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반면 탄핵을 기각해야 한다고 응답한 사람 중 53%는 ‘내 생각과 달라도 수용하겠다’고 답했다.
연령대별로는 20대와 30대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헌재 판단에 수용 입장을 밝혔지만 40~60대는 반대였다. 정치 성향별로는 진보 응답자의 59%는 ‘수용 불가’ 입장을, 보수 응답자의 51%는 ‘결과 수용’ 입장을 밝혔다. 중도층은 61%가 ‘결과 수용’을, 35%가 ‘수용 불가’ 입장을 드러냈다. 정당별로는 조국혁신당 지지층 70%, 더불어민주당 지지층 55%, 국민의힘 지지층 40%가 생각과 다르다면 불복하겠다고 말했다.
헌재의 탄핵심판 과정을 신뢰하는지에 대해서는 ‘신뢰한다’와 ‘신뢰하지 않는다’는 의견이 각각 46%로 팽팽히 맞섰다(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여야는 이날까지도 승복 문제를 놓고 입씨름을 했다.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자신들이 원하는 결과가 나오지 않을 것 같아 보이자 이에 대한 ‘빌드업’을 하는 건지, 마지막까지 헌재를 압박하기 위한 대국민 겁박을 하는 건지 모르겠다”고 비판했다. 이재명 민주당 대표가 전날 “승복은 윤석열이 하는 것”이라고 한 발언을 공격한 것이다. 권성동 원내대표도 “민주당은 사실상 불복을 선언하고 대중 봉기를 유도하고 있다”며 “내란 선동이자 이 대표의 대권 탐욕에 아부하는 충성 경쟁일 뿐”이라고 주장했다.
반면 한민수 민주당 대변인은 SBS 라디오에서 “학교폭력 가해자가 피해자를 힘들게 만들었는데도 피해자를 향해 ‘앞으로도 그냥 잘 지내라’고 하는 셈”이라며 “왜 피해자인 국민들에게 윽박지르느냐”고 반문했다. 같은 당 박주민 의원도 채널A 인터뷰에서 “이 사건 당사자가 이 대표는 아니지 않으냐. 당사자가 아닌 사람에게 승복하라고 묻는 것 자체가 옳지 않다”고 말했다.
최승욱 이종선 기자 apples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