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핵 찬반 전쟁터’된 서울 도심… 경찰, 헌재 150m ‘진공화’ 완료

입력 2025-04-03 02:38
경찰이 2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인근에서 방패 등을 활용해 폭력 시위에 대비하는 훈련을 하고 있다. 경찰은 헌재 앞 통제구역을 150m로 확장하며 경계수위를 높였다. 뉴시스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를 이틀 앞두고 경찰이 헌법재판소 앞 ‘진공상태’를 반경 150m 구간으로 확장하고 전면 통제에 나섰다. 헌재 인근에선 탄핵 찬반 밤샘집회가 이어지면서 긴장감이 갈수록 고조되고 있다.

서울경찰청 관계자는 2일 “경찰버스 차벽과 차벽트럭을 활용해 오후 2시부로 진공상태 구역을 기존 100m에서 150m로 확장해 최종 설치를 완료했다”고 말했다. 통제 구역은 서울 종로구 안국역 1·6번 출구, 수운회관과 운현궁, 현대 계동 사옥, 재동초등학교 인근 도로 등이다.


해당 구역에서는 일반 시민들의 통행은 가능하지만 집회·시위는 전면 통제된다. 경찰은 2017년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심판 당시 차단선이 너무 가까워 방어에 어려웠던 점을 고려해 통제 범위를 넓혔다고 설명했다. 인사동 일대와 광화문광장을 중심으로 탄핵 찬반 시위 참가자들 간 충돌을 막기 위한 ‘완충구역’도 설정할 계획이다. 경찰은 돗자리 등을 깔고 버티는 일부 농성자도 3일까지 차단선 밖 집회 장소로 이동하도록 유도할 방침이다. 헌재 경내에는 경찰특공대를 배치해 테러 상황에 대비키로 했다.

탄핵 찬반 진영은 선고 당일 24시간 집회와 행진을 신청한 상태다. 서울청 관계자는 “3만~10만명 규모로 각 단체가 신고했지만 신고 인원을 초과하는 대규모 인파도 고려해 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경찰은 유튜브를 통해 헌재 난입 등이 선동될 수 있다는 우려에 일부 유튜버들의 방송을 모니터링 중이다.

정부는 한덕수 국무총리 주재로 치안관계장관회의를 열고 관계기관 대응체계를 점검했다. 경찰은 3일 오전 9시부터 서울 전 지역에 ‘을호 비상’을, 4일 0시부터는 전국에 ‘갑호 비상’을 발령해 가용 경찰력 100% 동원 가능 체계를 구축할 방침이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를 이틀 앞둔 2일 서울 종로구 창덕궁 정문에 ‘선고일에 임시 휴궁한다’는 내용의 안내문이 붙어 있다. 헌법재판소 인근 경복궁과 덕수궁도 선고일에 문을 닫을 예정이다. 연합뉴스

이호영 경찰청장 직무대행은 지휘부 화상회의를 열고 “서울에 210개 부대 1만4000여명의 기동대를 집중 배치할 것”이라며 “시설 파괴, 재판관 등에 대한 신변 위해, 경찰관 폭행에 대해서는 현행범 체포와 구속 수사를 원칙으로 단호하게 대처하겠다”고 강조했다.

서울 도심 곳곳에선 집회가 진행됐다. 탄핵 찬성 측인 윤석열즉각퇴진·사회대개혁 비상행동은 전날 밤부터 안국역 6번 출구 앞에서 철야농성을 이어갔다. 이들은 지난달 30일부터 진행한 시민 100만명의 서명 탄원서도 헌재에 제출했다.

탄핵 기각을 주장하는 자유통일당 측도 안국역 5번 출구 앞에서 맞불 집회를 벌였다. 전날 밤부터 철야농성에 들어간 집회 참가자들은 태극기와 성조기를 들고 ‘이재명 구속’ 등의 구호를 외쳤다.

신재희 김승연 한웅희 기자 jsh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