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 취약계층 산불 대피 체계 구축

입력 2025-04-03 00:42

전남도가 재난 취약계층 산불 대피 매뉴얼을 수립, 선제 대응에 나선다. 사회복지시설 605개 중 산림인접지역 500m 이내 위치한 394개 시설이 대상이다.

매뉴얼에 따르면 ‘산불확산예측도’를 토대로 현장 지휘권자의 판단에 따라 위험지역 주민을 사전에 지정된 임시 대피시설로 즉시 대피하도록 하고 있다. 현장 지휘권자는 산불 확산 정도에 따라 단계별로 시장·군수와 도지사·산림청장이 맡게 돼있다.

대피 장소는 시설별로 임시 대피시설과 이송 병원을 사전 지정하도록 했다. 생활 시설의 경우 경증 입소자(거동 가능자)는 학교 강당, 체육관, 회관 등으로 대피시키고 중증 입소자는 인근 시설이나 병원으로 이송한다. 의료시설의 경우 중증 환자는 목포 한국병원과 순천 성가롤로병원 등 종합병원으로, 경증 환자는 99개 인근 지정병원으로 긴급히 이송토록 했다.

대피 방법은 생활시설의 경우 반드시 종사자 등과 함께 이동하고, 인력이 부족할 때는 시군 공무원, 생활지원사, 의용소방대 등 대피 지원인력을 생활인과 사전에 매칭해 차량으로 대피시킨다.

시군 공무원을 24시간 현장 대응반으로 구성해 산불 대비 도·시군 협조체계를 구축하고, 마음안심버스와 건강버스 등을 이용해 트라우마 치료 및 이동식 의료 서비스도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김영록 전남도지사는 2일 “한순간의 부주의가 대형 피해로 이어질 수 있는 재난이 산불”이라며 “철저한 준비와 대응으로 도민, 특히 재난 취약계층의 안전과 생명을 지키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무안=김영균 기자 ykk22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