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가 외국인주민이 지역에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올해 총 69억원을 투입한다. 단기 체류 중심의 유치 정책에서 벗어나 장기 거주 기반을 마련하고, 지역사회와의 상호 소통을 강화하겠다는 구상이다.
부산시는 지난 28일 시청에서 ‘2025년도 부산시 외국인주민 지원 계획(안)’을 심의 의결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지원 계획은 외국인 유치에서 정착으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구축하기 위한 것으로, ‘정주기반 마련’ ‘정주환경 조성’ ‘상호존중과 소통 강화’ ‘지원체계 개선’ 등 4대 전략 아래 14개 과제, 52개 세부 사업이 추진된다. 부산글로벌도시재단, 외국인근로자지원센터, 14개 다문화센터 등 21개 기관과 시청 9개 부서가 함께 참여한다.
주요 사업에는 지역 기반 비자 정책과 유학생 유치·양성 전략, 외국인을 위한 통합 콜센터 구축, 초기 적응 및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 운영, 자녀 성장 지원, 취 창업 연계, 세계시민교육과 외국인정책 포럼 등이 포함됐다. 이와 함께 법무부의 광역형 지역 특화형 비자 제도와 연계한 정주 기반 정책도 추진된다.
2023년 기준 부산의 외국인 주민 수는 8만3401명으로, 전체 인구의 2.5%를 차지한다. 외국인근로자, 유학생, 결혼이민자 및 그 자녀 등으로 구성돼 있다. 출신 국가는 베트남, 중국, 태국 등이 많다. 지역별로는 남구, 사상구, 사하구, 강서구에 집중돼 있다. 유학생은 남구 사상구, 외국인근로자는 사하구 강서구에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는 외국인주민 증가에 대응해 지난해 하반기 인구정책담당관실 산하에 외국인정책팀을 신설하고 전담 행정 기반을 마련했다. 올해는 실태조사와 데이터 기반 정책도 병행 추진할 계획이다.
이준승 부산시 행정부시장은 “지역에 정착한 외국인주민들이 차별 없이 생활할 수 있도록 외국인 친화 환경을 조성하겠다”며 “이들이 지역사회에 자연스럽게 녹아들어 도시의 활력을 높일 수 있도록 체계적인 지원 정책을 마련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