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사진) 미국 대통령이 4월 2일 상호관세 발표를 앞두고 관세 정책에서 점점 더 강경한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대통령 본인이 관세 정책의 불확실성을 키우고 있어 참모들도 우려하고 있지만 누구도 직언하기 어려운 분위기가 만들어진 것으로 전해졌다.
워싱턴포스트(WP)는 29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이 고위 참모들에게 관세 정책을 더 확대하라고 압박하고 있다”며 “미 의회와 월가가 백악관에 좀 더 유화적인 접근을 요구하고 있지만 트럼프는 미국 경제를 근본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해 공격적 조치를 추진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WP에 따르면 트럼프는 최근 보편관세 아이디어까지 되살렸으며, 관세를 협상 수단이 아니라 연방정부의 수입원으로 여기는 관점이 강화되고 있다.
트럼프는 이날 NBC방송 인터뷰에서도 자동차 관세 부과로 자동차 가격이 오를 수 있다는 지적에 대해 “전혀 신경 쓰지 않는다. 외국 자동차 가격이 오르면 미국 자동차를 사게 될 것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상호관세를 더 이상 연기할 의향이 없다며 “상대방이 우리에게 매우 가치 있는 것을 줄 의향이 있을 경우에만 협상을 고려할 수 있다”고 밝혔다.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최측근들조차 모를 정도로 불확실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폴리티코는 “4월 2일을 앞두고 J D 밴스 부통령부터 수지 와일스 비서실장 등 대통령과 가장 가까운 사람조차도 트럼프가 무엇을 할지 정확히 알 수 없다고 사적으로 밝혔다”고 전했다.
트럼프가 지난 26일 자동차 관세를 발표했을 때도 백악관은 전혀 준비되지 않은 상태였던 것으로 알려졌다. 참모들은 트럼프에게 온건하고 신중한 관세 정책을 설득하고 있지만,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과 피터 나바로 백악관 무역·제조업 담당 고문이 강경책을 지지하고 있다고 폴리티코는 전했다. 백악관 주변에선 최고위 참모들조차 트럼프가 듣기 싫어하는 말을 하는 것을 꺼린다거나, 트럼프가 관세 효과를 신봉하고 있어 대화 자체가 어렵다는 전언이 나온다. 한 측근은 “사람들이 대화를 시도해봤지만 그는 완전히 고집을 부리고 있다”고 전했다.
워싱턴=임성수 특파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