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일방적인 관세 부과를 앉아서 당할 수는 없다. 정부는 즉각 트럼프 행정부와 협상에 나서야 한다. 트럼프 대통령이 서명한 행정명령이 4월 3일부터 적용되면 미국으로 수출되는 한국 자동차도 25%의 관세를 물어야 한다.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의 발효로 2016년부터 관세를 적용하지 않던 한국 자동차에 미국이 일방적으로 고율의 관세를 물리는 것은 자유무역질서에 반하는 횡포다. 25%의 관세를 고스란히 떠안으면 한국 경제는 큰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다. 자동차는 금액 기준으로 지난해 대미 수출의 약 3분의 1을 차지했다. 미국시장은 한국의 자동차 수출에서 절반이 넘는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에 대안을 찾기가 쉽지 않다. 정부는 행정명령이 발효되기 전이라도 트럼프 대통령을 설득해 관세 유예 등을 끌어내야 한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은 수출국인 한국에 타격을 주지만 미국 내 수입 물가를 자극하기 때문에 월가에서도 환영을 받지 못하고 있다. 자동차 관세 25%가 발표되자 미 증시가 급락한 것이 단적인 예다. 물가상승과 경기침체 우려가 미국 투자자들의 심리를 얼어붙게 만든 것이다. 미 연방준비제도가 자국의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불과 3개월 만에 2.1%에서 1.7%로 낮춘 것도 관세 정책 영향이다. 그럼에도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폭탄을 꺼내든 것은 미국의 무역적자를 줄이기 위한 협상 카드의 성격이 짙다. 한국 정부가 미국의 관세 부과를 세계무역기구(WTO)에 제소하는 한편 미국산 에너지 수입 확대 등 양국 간 무역수지 개선 조건을 제시하면 트럼프 행정부가 협상을 마다하지 않을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협박은 철강과 알루미늄, 자동차에 그치지 않고 다른 산업 분야로도 확대될 가능성이 크다. 트럼프 1기 시절보다 더 독해진 미국 우선주의에 휘둘리지 않도록 정부는 협상 전략을 정교하게 다듬어야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