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월 태어난 아기가 지난해 1월보다 2486명(11.6%)이나 증가했다. 1월 출생아 수가 전년 대비 증가한 것은 2015년 이후 10년 만이고, 11.6%라는 증가율은 1981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최대치다. 악화일로로 치닫기만 하던 출산율이 반등하고 있다는 소식은 낭보임에 틀림없다. 정부와 지자체는 맞춤형 정책과 적극적 대응으로 이 같은 흐름을 이어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통계청이 26일 발표한 ‘1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지난 1월 태어난 아기는 모두 2만3947명이었다. 출생아 수는 지난해 9월부터 5개월 연속으로 전년 동월보다 증가하고 있는 추세를 이어가고 있다. 연간 출생아 수 역시 지난해 8300명 늘어나면서 9년 만에 늘었고, 합계출산율(여성이 가임기간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도 증가했다. 올해 1월 합계출산율은 0.88명으로, 1년 전(0.80명)보다 0.08명 늘었다. 특히 출산율 상승이 수도권 등 특정 지역에 국한된 현상이 아니라는 점은 고무적이다. 지난해 4분기에는 전국의 모든 시·도에서 합계출산율이 증가했다고 한다. 이는 정부의 노력과 함께 지자체의 적극적이고 효과적인 대응이 있었다는 점을 보여주는 것이다. 정부가 정책의 큰 틀을 제공하면 지자체가 지역별 상황과 주민 요구를 반영한 정책으로 보완해 실질적인 변화를 만들어내면서 공조가 빛을 발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중요한 것은 이 같은 흐름이 끊기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점이다. 코로나19 당시 미뤄뒀던 결혼이 증가함에 따라 출산율 반등이 일시적일 가능성이 높다는 예상이 빗나가도록 만들어야 한다. 그러려면 기존의 정책적 노력에 더해 의료와 보육 등 기본 인프라의 지역 간 불균형을 최소화해야 한다. 정부와 지자체는 지난해부터 이어지는 출산율 상승 흐름을 확고한 ‘V자 반등’으로 만들어 저출생 위기극복을 현실화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