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는 ‘ABC(AI, 바이오, 클린테크)’ 사업을 미래 먹거리로 점찍고 관련 분야에 연구·개발(R&D)과 투자를 집중하고 있다.
LG는 지난해부터 2028년까지 5년간 100조원 규모의 국내 투자에 나설 예정이다. 이 중 약 50%인 50조원 이상을 미래 성장·신사업에 할당하는 등 공격적 투자를 단행한다.
먼저 인공지능(AI) 분야에 과감한 투자와 혁신을 집중하며 AI 기술 경쟁력 강화에 힘을 쏟고 있다.
2020년 설립된 AI 싱크탱크 LG AI연구원은 2021년 12월 3000억 파라미터 규모의 멀티모달 AI 모델인 ‘엑사원 1.0’을 발표한 이후 2023년 7월에는 ‘엑사원 2.0’, 지난해 8월에는 거대언어모델(LLM)인 ‘엑사원 3.0’을 국내 최초로 오픈소스로 공개했다. 넉 달 뒤인 12월에는 한층 업그레이드된 기능의 ‘엑사원 3.5’를 선보였다.
엑사원 3.5를 기반으로 만든 엔터프라이즈 AI 에이전트 ‘챗엑사원’도 지난해 12월부터 임직원을 대상으로 정식 서비스를 시작했다. 챗엑사원은 실시간 웹 정보와 문서 기반 질의응답, 요약, 번역, 보고자료 초안 작성, 데이터 분석, 코딩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LG의 이러한 AI에 대한 투자와 노력은 계열사의 생산라인, 제품 개발, 고객 서비스 등 계열사 비즈니스 현장에서 실질적 성과로 이어지고 있다.
LG전자는 신형 그램에 온디바이스 AI를 탑재했으며 LG디스플레이는 사내 품질 문서를 활용해 생성형 AI 기반 불량 지식 탐색 지능화 플랫폼을 개발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원재료 가격 예측에 AI 기술을 적용했다. LG유플러스는 자체 소형언어모델(sLLM)인 익시젠을 활용해 AI 통화 에이전트 서비스 익시오를 출시했다.
구광모 LG그룹 회장은 지난해 6월 실리콘밸리를 방문해 반도체 설계부터 로봇 등 다른 분야에 이르기까지 AI 밸류체인 전반과 기술 동향을 살폈다.
LG는 바이오와 클린테크 분야에서도 혁신을 가속하기 위한 투자와 육성에 힘을 싣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