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유튜버들의 혹세무민과 선동이 도를 넘고 있다. 극단적 정치 콘텐츠를 넘어 폭력을 부추기는 행위가 난무하고 있다. ‘이슈가 곧 돈’인 상황에서 주목받기를 바라는 유튜버들은 현실에서 과격한 행동도 서슴지 않고 있다. ‘슈퍼챗’(현금 후원)을 유도하기 위한 과장된 ‘쇼’도 인위적으로 연출할 정도다. 이들을 방치했다간 큰 대가를 치를 것이다. 적절한 책임을 지워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유튜버들의 주무대는 헌법재판소 앞이다.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심판이 임박한 가운데, 이들은 헌재 인근에서 슈퍼챗을 받기 위해 혈안이 돼 있다. 24일 서울경찰청에 따르면 최근 한 달간 112 신고가 접수된 헌재 인근 유튜버 간 싸움은 382건으로 집계됐다. 한 보수 유튜버는 “좌파들과 싸우고 욕 먹으면 기분은 당연히 나쁘지만 그림이 재밌지 않냐”고 했고, 또 다른 유튜버는 “헌재 앞에 이렇게 위험한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는 그림을 그려야 사람들이 더 모여 같이 결속력을 다질 수 있다”고 했다. 싸움판을 벌여 돈을 벌겠다는 의도다. 유튜브 통계사이트 ‘플레이보드’에 따르면 10~16일 가장 많은 슈퍼챗을 받은 국내 유튜브 채널 50개 중 23개가 정치 유튜브 채널이었다. 이 중 대다수는 헌재 앞에서 폭력을 조장하거나 경찰과 탄핵 찬반 측을 서로 비난하는 영상 위주로 생중계를 하고 있다. 한 보수 유튜브 채널은 최근 3개월 동안 벌어들인 수익이 무려 3억1000만원가량 됐다. 이러니 과격 행위를 부추기고 선동하는 유튜버가 더욱 활개를 치는 게 아니겠는가.
폭력을 조장하면서 수익을 올리는 것은 범죄나 다름없다. 갈등으로 대중의 관심을 끌고 돈을 버는 이들에겐 공존은 어울리지 않는다. 혐오와 충돌만을 부추기는 유튜버들을 근절할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하는 이유다. 무법지대에 놓인 이들에게 대가를 치를 수 있도록 관련 법도 정비할 필요가 있다. 돈줄을 끊을 수 있는 과세도 뒤따라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