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론조사 비용 대납 의혹을 수사 중인 검찰이 오세훈 서울시장 소환 조사 시기를 저울질하고 있다. 일각에선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결과에 따라 조기 대선이 실시되면 오 시장 수사가 차질을 빚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다만 검찰은 조기 대선 등 정치적 상황에 대한 고려 없이 의혹 규명에 속도를 낸다는 방침이다.
23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명태균 의혹 전담수사팀(팀장 이지형 차장검사)은 오 시장 휴대전화 등 압수물 분석을 마치는 대로 오 시장을 불러 조사할 계획이다. 이르면 이번 주쯤 조사가 이뤄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검찰은 지난 20일 오 시장 집무실 등을 압수수색했고, 21일 2021년 4·7 서울시장 보궐선거를 지휘한 김종인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을 참고인 신분으로 조사했다.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가 오 시장 조사 시점에 변수가 될 가능성도 있다. 헌법재판소가 윤 대통령 탄핵을 인용하면 60일 이내 차기 대통령 선거를 치러야 한다. 여론조사 의혹 관련 피의자 신분인 오 시장은 여권의 유력 대권 주자로 꼽힌다. 그간 검찰은 대선이나 총선 등 일정이 있을 경우 선거에 영향을 최소화한다는 원칙에 따라 후보자에 대한 수사를 자제하고 선거가 끝나면 재개했다.
최근 더불어민주당 전당대회 돈 봉투 의혹 사건에서도 검찰은 지난해 4 10 총선 전까지 국회의원 등에 대한 소환 조사를 자제하다 선거 후 출석을 요청했다. 지난 2007년 17대 대선 당시 정동영 당시 대통합민주신당 후보가 이명박 전 대통령을 비판해 검찰에 고발됐는데 검찰은 선거 후 이듬해 정 후보에게 출석을 요청했다.
다만 검찰은 현재로선 외부 정치 일정을 고려하지 않고 수사에 집중한다는 입장이다. 아직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시점이 불투명하고, 명태균씨 의혹과 관련해 국민적 의구심이 큰 만큼 의혹 규명에 속도를 내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오 시장이 결백을 주장하며 신속히 소환 조사를 받고 싶다는 입장을 밝힌 만큼 조사 일정이 빠르게 정해질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검찰 관계자는 “수사팀에선 (조기 대선 여부를) 크게 신경 쓰지 않고 있다”며 “신속하게 수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재환 신지호 기자 j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