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이스라엘의 역사가이자 세계적인 베스트셀러 작가인 유발 하라리를 만나 인공지능(AI) 산업에 대한 공공 투자 구상, 이른바 ‘K엔비디아’ 아이디어를 거듭 강조했다.
이 대표는 22일 국회 사랑재에서 하라리와 약 100분간 AI 시대의 발전 방향을 주제로 대담했다. 두 사람은 지난 대선 전인 2021년에도 이 대표의 대표 정책인 기본소득 구상을 놓고 화상으로 토론한 바 있다. 민주당은 조기 대선이 현실화될 경우 한국을 AI 분야 선도 국가로 이끌 수 있는 방안을 대선 공약으로 제시할 계획이다.
이 대표는 “AI 발전이 경제·사회적 불평등을 가져올 수 있다”는 하라리의 우려에 공감을 표했다. 그러면서 자신이 최근 언급한 첨단산업 영역에의 공공 참여 구상인 ‘K엔비디아’를 둘러싼 공방을 거론했다.
이 대표는 “(AI 산업은) 엄청난 자원을 투자해야 해서 거대 기업, 소수만이 부를 누릴 가능성이 높다”며 “공공 부문이 투자해 투자 이익을 상당 부분 나눌 필요가 있지 않으냐”고 말했다. 이어 “얼마 전 인공지능 관련 기업에 국민과 국가 자본인 국부펀드로 투자해 지분을 상당 부분 확보하는 게 어떨지, 사업 자체에 공공이 참여하는 건 어떨까 이야기했다가 공산주의자라고 비난을 많이 받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하라리는 “나는 경제학자가 아니기 때문에 거기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말씀드릴 수 없다”면서도, 19세기 산업혁명 당시 기업들의 아동 노동력 착취 문제를 거론하며 “원칙적으로 볼 때 정부가 반드시 개입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사람들이 계속 새로운 직업을 가질 수 있도록 재활하고 재훈련하는 비용과 금전적 지원만이 아닌 심리적 지원이나 정신보건에 대한 투자도 확대해야 한다”며 “그래서 앞으로 정부가 어떤 식으로든 개입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하라리는 AI 시대의 부작용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하라리가 인간인 척하는 AI, 즉 ‘가짜 인간’에 관해 설명하자 이 대표는 “계엄령을 선포하는 윤석열 대통령이 가짜(인간)인 줄 알았다”며 웃기도 했다.
최승욱 기자 apples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