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생 “휴학은 적법” 복귀 거부

입력 2025-03-21 00:00
국민일보DB

의대생 단체가 집단 휴학을 지속하겠다는 취지의 입장을 밝혔다. 사실상 수업 복귀를 거부한 것으로 해석된다. 정부와 대학 총장들이 유급과 제적, 편입학 추진 등으로 복귀를 독려하자 맞불을 놓은 것이다. 무더기 유급·제적 처분이 내려지고 2026학년도 모집인원이 지난해 수준으로 돌아가는 ‘강 대 강’ 구도가 재현될 가능성이 커졌다. 다만 의대 교수들이 수업 복귀를 설득하고 있고, 유급·제적을 목전에 둔 의대생들과 의대생 단체의 입장이 다를 수 있어 상황을 좀 더 지켜봐야 한다는 전망도 나온다.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는 20일 “적법하게 제출한 휴학원은 여전히 유효하다”며 “휴학계 처리 과정에서 부당한 처우를 당한다면 소송을 비롯한 모든 수단을 강구할 것”이라고 밝혔다. 공동 성명에는 전국 40개 의대·의전원 대표가 모두 이름을 올렸다. 교육부와 40개 대학 총장 모임인 ‘의과대학 선진화를 위한 총장협의회’(의총협)가 의대생의 휴학계를 일괄 반려하기로 뜻을 모은 것에 대한 반응이다.

의대협은 “휴학원 반려 조치는 교육부가 내린 자의적 지침에 따라 총장이 담합해 결정한 비상식적인 형태”라며 “학생은 학업 계획과 상황에 따라 휴학을 신청할 권리가 있다”고 했다. 이어 대학 총장들을 겨냥해 “그만 사업자가 아닌 교육자로서의 모습을 보여주길 바란다”고 꼬집었다.

의대 교수들은 의대생 복귀를 설득하고 있다. 연세대 의대 교수들은 이날 서울 서대문구 연세의대 윤인배홀과 강남세브란스병원, 용인세브란스병원에서 전체 교수회의를 열었다. 최재영 의과대학장은 이 자리에서 학생들이 등록하도록 계속 설득하겠다는 취지의 발언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정재훈 고려대 의대 예방의학과 교수는 국민일보에 “의대생들도 기존 요구안에서 협상 가능한, 받아들일 수 있는 범위를 제시해야 한다”며 의대생들에게 복귀를 권유했다. 익명을 요청한 한 의대 교수도 “학교로 돌아온 의대생들도 잘못된 의료 정책에 반대할 수 있다. ‘벼랑 끝 전술’만이 유일한 투쟁 방식은 아니다”고 강조했다.

강경파 교수들과 의사 단체는 의대생들의 대오 이탈을 경계하고 있다. 연세의대 교수비상대책위원회는 이날 낸 성명에서 “의대생들이 (휴학이라는) 정당한 권리를 무시당하고 제적이라는 상상해 본 적 없을 위협을 받고 있다”며 “부당한 명령을 취소하라”고 주장했다. 대한의사협회도 “(제적이) 만약 현실이 된다면 의협은 가장 앞장서서 투쟁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투쟁의 구체적 내용에 대해서는 “시위·집회·파업·태업 등 여러 가지 방법 모두 고려하고 있다”고 했다.

이도경 이정헌 기자 yid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