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생 복귀 데드라인이 코앞으로 다가오면서 의대생들의 선택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정부와 대학 총장들이 집단 유급과 제적, 편입학 추진 등으로 복귀를 독려하는 상황에서 의대 교수들도 “투쟁은 선배에게 맡기고 이제 돌아올 때”란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다. 다만 의사 단체와 강경파 교수들은 ‘의대생 제적 시 투쟁 강화’ 입장을 밝히며 의대생들의 대오 이탈을 경계하고 있다.
정재훈 고려대 의대 예방의학과 교수는 20일 국민일보에 “의대생들도 기존 요구안에서 협상 가능한, 받아들일 수 있는 범위를 제시해야 한다”며 “서로 양보하고 합의할 때 가장 중요한 건 사회적 신뢰”라면서 의대생들에게 복귀를 권유했다. 정 교수는 이번 의·정 갈등으로 인한 정부와 의사, 환자 등의 신뢰 붕괴를 특히 우려했다. 그는 “미래 의료 현장은 재정적인 지속 가능성에서 더 가혹할 것이고, 의사와 환자의 이해관계도 첨예하게 갈릴 것”이라고 진단했다. 의·정 갈등의 출구를 찾아야 하고 의대생 복귀가 그 시작이 돼야 한다는 것으로 읽힌다.
익명을 요청한 한 의대 교수도 “학교로 돌아온 의대생들도 잘못된 의료 정책에 반대할 수 있는 다른 방법을 찾을 수 있다. ‘벼랑 끝 전술’만이 유일한 투쟁 방식은 아니다”고 강조했다. 정 교수 등의 호소는 최근 서울대 의대 교수들의 성명과 궤를 같이한다. 지난 17일 서울대 의대·병원 소속 하은진·오주환·한세원·강희경 교수는 동료 복귀를 가로막는 의대생·전공의 행태를 강도 높게 비판한 바 있다.
강경파 교수들은 미복귀 의대생들을 두둔하고 있다. 연세의대 교수비상대책위원회는 이날 낸 성명에서 “의대생들이 (휴학이라는) 정당한 권리를 무시당하고 제적이라는 상상해 본 적 없을 위협을 받고 있다”며 “부당한 명령을 취소하라”고 주장했다. 대한의사협회도 이날 입장문에서 “(총장들이) 제적을 운운하는 것은 학생들을 보호하는 것이 아닌 압박하는 것”이라면서 “(제적이) 만약 현실이 된다면 의협은 의대생 보호를 위해 가장 앞장서서 투쟁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투쟁의 구체적 내용에 대해서는 “시위·집회·파업·태업 등 여러 가지 방법 모두 고려하고 있다”고 했다.
정부는 단호하다. 이한경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2총괄조정관은 이날 의사 집단행동 관련 회의를 주재하면서 “지속적인 수업 거부 시 학칙에 따라 엄정히 대응할 수밖에 없다. 의대생 여러분께서는 본인의 꿈과 미래 의료 발전을 위해 합리적인 판단을 해 달라”고 재차 밝혔다.
이정헌 기자 hle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