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다음 달 2일 상호관세 부과를 예고한 가운데 스콧 베센트(사진) 재무장관이 나라별로 관세율 ‘숫자(number)’를 부여할 것이라며 협상 결과에 따라 관세율이 달라질 수 있다고 말했다. 전날 케빈 해셋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도 무역 장벽을 거론하며 상호관세 부과 전 협상 가능성을 밝혔다.
베센트 장관은 18일(현지시간)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4월 2일 우리는 각 나라의 관세에 해당한다고 생각하는 숫자를 부여할 것”이라며 “어떤 국가는 그 숫자가 꽤 낮을 수 있고, 어떤 국가는 꽤 높을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미국무역대표부(USTR)와 상무부가 국가별 관세율을 산정하고 있다고 전했다.
진행자가 ‘실제로 주요 관세 문제를 논의하는 대상은 전체 국가의 15 %에 불과한가’라고 묻자 베센트는 “그렇다. 전체 국가의 15% 정도에 해당하지만 이들은 우리 무역량에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한다”고 답했다.
이어 “우리가 약간의 흑자를 보지만 우리와 교역을 별로 하지 않는 큰 그룹의 국가들이 있다. 그리고 우리가 ‘지저분한 15’(Dirty 15)라고 부르는 국가들이 있는데 이들은 상당한 관세를 (미국에) 부과하고 있고 비관세 장벽도 상당하다”고 말했다. 베센트는 ‘지저분한 15’를 구체적으로 언급하지는 않았다. 한국이 대미 흑자폭이 큰 만큼 ‘지저분한 15’에 속할 가능성이 있다.
베센트는 “상호관세를 산정할 때 다른 국가의 관세율뿐 아니라 비관세 장벽, 환율 조작 등도 함께 고려한다”면서 “이런 것을 중단한다면 우리는 관세 장벽을 세우지 않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나는 4월 2일에 일부 관세가 부과되지 않을 수도 있다고 낙관한다”며 “사전에 협상이 이뤄지거나 각국이 상호관세율을 받은 직후 우리에게 와서 이를 낮추기 위한 협상을 원할 것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트럼프 행정부가 수많은 교역국에 대해 상호관세율을 책정하는 복잡한 작업을 단순화하기 위해 각국을 3개 등급으로 나누는 방법도 한때 검토했다고 전했다.
워싱턴=임성수 특파원, 김이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