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한국 전문가가 ‘트럼프 스톰’에 대비해 한·일 공동의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한국에서 조기에 정권 교체가 이뤄지면 한·일, 한·미·일 관계가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도 표했다.
우메다 히로시(사진) 일본 타쿠쇼쿠대학 해외사업연구소 조교수는 지난 11일 도쿄 타쿠쇼쿠대학에서 한국 외교부 출입기자단과 만나 “한·일 양국이 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에 함께 대응할 수 있는 선을 잘 찾았으면 좋겠다”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방위비 분담금 문제를 제기하면 어느 선까지 (재협상이) 가능할지 한·일 간 사전 조정이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한국의 ‘G7 플러스’ 가입은) 공동 이익을 목표로 추진할 수 있다”며 “그렇게 해서라도 트럼프 정부의 압박에 공동 대응하는 게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우메다 교수는 한국 정치 상황과 관련해 “일본 정부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대통령이 되는 상황을 경계하고 있는 것 같다”며 “일본에서는 ‘이재명이 대통령이 되면 한·일 관계가 나빠진다’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이 대표와 다카이치 사나에 전 경제안보상이 동시에 정권을 잡는 것은 악몽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각국 내에서 반일, 반한 정서가 더 심화할 수 있다는 의미다.
그는 또 “일본은 미국과 함께한다는 일관된 기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한·미 관계가 나빠지면 한·일 간 뭘 할 수 없는 어려운 상황이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양국이 여전히 과거사 문제로 부딪히는 것에 대해서는 “일본 사회는 내 아이와 손주 세대까지 계속 사과해야 하느냐는 생각이 많다”며 “사과의 의미와 차이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박민지 기자, 외교부 공동취재단 pm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