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18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전쟁과 관련해 에너지와 인프라(기반시설)에 대한 공격을 30일간 중단하는 부분 휴전에 합의했다. 두 정상은 전면적 휴전에 대해서는 추가 논의를 이어가기로 했다. 이번 합의에 대해 우크라이나도 일단 긍정적인 평가를 했지만, 완전한 휴전까지는 아직 갈 길이 멀다는 전망이 나온다.
백악관은 이날 트럼프 대통령과 푸틴 대통령의 전화 통화 뒤 발표한 보도자료에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사이에 에너지 및 인프라 분야에서 우선 휴전을 시작한다”며 “흑해 해상에서의 휴전 이행과 전면적 휴전 및 영구 평화에 관한 기술적인 협상을 중동에서 즉시 시작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러시아 크렘린궁도 성명에서 트럼프가 30일간 에너지 및 인프라 시설에 대한 공격을 서로 중단할 것을 제안했고, 푸틴이 즉시 군에 에너지 인프라에 대한 공격 중단 명령을 내렸다고 발표했다.
트럼프와 푸틴의 이번 합의가 실제로 이행된다면 우크라이나 전쟁 3년여 만에 처음으로 상호 합의에 따라 일부 전투가 중단되는 것이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는 그동안 발전소와 정유 공장 등 상대국의 에너지 기반시설을 집중적으로 공격해 왔다.
하지만 이번 합의는 앞서 미국과 우크라이나가 사우디아라비아 고위급 회담에서 합의한 ‘30일간의 무조건 전면 휴전’에는 못 미치는 내용이다. CNN은 “두 정상의 대화는 트럼프가 지지하고 우크라이나가 동의한 30일 휴전을 푸틴이 승인하도록 설득하는 데까지는 이르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두 정상은 전면적 휴전에 대해 원칙적으로 찬성한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백악관은 “우크라이나 전쟁의 평화와 휴전 필요성에 대해 논의했다”며 “두 정상은 이 분쟁을 지속적인 평화를 통해 끝내야 한다는 데 동의했다”고 밝혔다.
다만 푸틴은 전면 휴전과 관련해 여러 요구 조건을 트럼프에게 전달했다. 푸틴은 장기간 지속될 수 있는 평화를 위해선 우크라이나에 대한 외국의 군사·정보 지원이 중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우크라이나가 병력 동원과 무장 강화 활동을 중단해야 한다고 요구했는데, 이는 이미 우크라이나가 거부 의사를 밝힌 내용이다. 이날 통화에선 러시아가 2014년 크림반도 병합 이후 우크라이나 영토 약 20%를 점령한 문제도 논의되지 않았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트럼프와 푸틴의 통화 직후 “에너지 및 인프라에 대한 공격을 중단하자는 제안에 찬성한다”며 “미국은 보증인이 돼야 한다”고 말했다. 다만 19일 핀란드 헬싱키에서 알렉산데르 스투브 대통령과 회담 후 공동 기자회견에선 “우리에게 넘지 말아야 할 레드라인은 일시적으로 빼앗긴 영토가 러시아 땅으로 인정되는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트럼프와 푸틴은 통화에서 다른 외교 현안도 논의했다. 백악관은 “두 정상이 미·러 관계 개선의 필요성을 강조했다”며 “양국 관계가 개선된 미래에는 엄청난 이점이 있다는 데 동의했다. 여기에는 평화가 달성됐을 때의 막대한 경제적 합의와 지정학적 안정이 포함된다”고 설명했다. 두 정상은 또 전략무기 확산을 중단시킬 필요성에 대해 논의했으며, 전략무기 확산 중단을 최대한 넓게 적용하기 위해 다른 당사자들과 관여하기로 했다.
워싱턴=임성수 특파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