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 후 2개월간 소셜미디어(SNS)에서 ‘미국’ ‘대통령’ 다음으로 가장 많이 사용한 단어는 관세(Tariff)로 나타났다. 전 세계를 상대로 ‘관세전쟁’을 주도하는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조치에 대한 여론의 주목도를 높이고 반응을 확인하는 동시에 리더십을 부각하는 창구로 SNS를 활용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국민일보가 18일 트럼프 대통령의 ‘트루스소셜’ 계정을 분석한 결과 그는 취임식을 치른 지난 1월 20일부터 이달 16일(현지시간)까지 56일 동안 총 1015건의 게시물을 올렸다. 하루 평균 18.1개로, 트루스소셜의 대표적 ‘열성 이용자’였던 셈이다.
트럼프의 계정에서 가장 자주 등장한 정치·사회적 표현은 단연 ‘미국’이었다. 미국 우선주의를 앞세운 자신의 행보처럼 조사기간 그의 계정에서는 ‘America’(113회·1위), ‘United States of America’(109회·3위), ‘Country’(99회·5위) 등 미국을 가리키는 표현이 다수 등장했다. 출현 빈도 2위(President)와 4위(Trump)는 트럼프 대통령 자신을 일컫는 표현이었다.
눈길을 끄는 항목은 조사기간 총 78차례 등장해 정치·사회적 용어 중 6번째로 많이 사용된 관세(Tariff)였다. 관세는 트럼프 2기를 대표하는 핵심 정책이다. 취임 전부터 전 세계를 상대로 ‘보편관세’를 예고했던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직후 멕시코·캐나다를 시작으로 철강, 목재, 상호관세 등 새로운 관세 정책을 연달아 꺼냈다.
트럼프 대통령은 트루스소셜 계정을 정책 발표 전 예고성 발언을 통해 여론의 관심을 집중시키는 플랫폼으로 활용하고 있다. 조사기간 올라온 게시물 1015개 중 58개(5.7%)는 그의 향후 정책 의지를 담은 내용이었다.
대부분은 대중의 관심을 환기하기 위한 게시물이었다. 상호관세 발표 전날인 지난달 12일 트럼프 대통령은 “금리가 지금보다 내려가야 한다. 조만간 발표할 관세 정책들과도 관련된 문제”라면서 전 세계의 관심사인 금리 인하와 미국의 관세 정책을 한데 묶어 언급했다. 상호관세 부과를 공식 발표한 이튿날에는 “백악관에서 오후 1시에 관련 기자회견이 있다.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만들자”면서 관심을 촉구했다.
여론을 떠보는 경우도 있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7일 트루스소셜에 “현재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맹공격하고 있는 점을 고려해 공격 중지 때까지 대규모 금융 제재와 관세 부과 등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다만 아직 이뤄진 조치는 없다. 미국 현지에서는 실제 제재 의사는 희박한 ‘보여주기식’ 발언이란 해석도 나온다. 지난달 26일에는 “철강·알루미늄 업계와 마찬가지로 미국의 위대한 구리 업계 역시 세계 시장 참여자들의 국산 제품 공격으로 심대한 타격을 입었다”는 글을 올렸다. 미국 정부는 구리가 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있지만 아직 본격적인 관세 부과로는 나아가지 않았다.
전임 조 바이든 행정부와 대립각을 세우면서 자신의 리더십을 강조하는 경우도 많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일 트루스소셜을 통해 가상자산 전략 비축 계획을 밝히면서 “부패한 바이든 정부의 공격을 받았던 가상자산업계를 부흥시키고 미국을 전 세계 가상자산의 수도로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바이든 전 대통령은 조사기간 15위(36회)에 이를 만큼 트럼프 대통령의 SNS에서 자주 언급된 이름이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트루스소셜 계정을 자신에게 우호적인 논리와 발언을 소개하는 창구로도 활용했다. 친트럼프 언론 및 관계자의 보도·발언을 줄줄이 인용하면서 자신을 방어하는 식이다. 그의 경제 정책에 대한 비판이 커진 지난 10일에는 하루 142건의 게시물을 올려 자신의 정책을 옹호했다.
전문가들은 국내에서도 트럼프 대통령의 ‘SNS 정치’에 주목하되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허윤 서강대 국제대학원 교수는 “트럼프 대통령은 세세한 것까지 SNS에 언급하는 대표적 SNS 정치가”라면서도 “정책을 발표했다가도 돌연 바꾸는 일이 잦은 만큼 우리와 연관되는 게시물이 올라와도 바로 대응하기보다 긴 호흡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세종=이의재 김윤 기자 sentine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