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국악원의 전·현직 예술감독들이 18일 문화체육관광부 고위 관료의 국립국악원장 임명에 반대 성명을 발표했다. 지난 7일 국립국악원 전임 원장과 연구실장으로 구성된 ‘국립국악원 현안 비상대책협의회’(비대위)에 이어 전·현직 예술감독들까지 나선 것이다. 성명서에서는 정악단 11명, 민속악단 6명, 무용단 7명, 창작악단 5명 등 총 28명이 이름을 올렸다.
국립국악원의 전·현직 예술감독들은 ‘문화체육관광부 행정직 고위공무원의 국립국악원장 임명을 강력히 반대한다’는 제목의 성명서를 통해 “국립국악원은 단순한 행정기관이 아니라, 1400여 년의 역사와 전통을 지닌 국악의 중심 기관으로서 그 역할과 책임이 막중하다. 그런데, 최근 탄핵 정국의 엄중한 상황에서 문화체육관광부는 국립국악원장을 국악 전문성과 무관한 행정직 고위공무원으로 임명하려 하고 있다”면서 “국립국악원은 관치행정의 도구가 아니다. 국악의 정통성과 미래를 지키기 위해 국악 전문가 원장이 필요하다. 국립국악원 운영의 핵심은 예술성과 전문성이다”라고 발표했다.
앞서 문체부는 기획운영단과 국악연구실의 2개 국(局)단위 조직으로 운영되던 국립국악원의 조직 개편을 추진했었다. 비대위가 문체부 고위공무원의 국악원장 임명과 연구 기능 축소가 예상되는 조직개편에 반대하는 성명서를 발표하자, 용호성 문체부 차관이 국립국악원의 요구를 일부 반영해 조직개편을 하겠다는 입장을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문체부가 고위공무원의 국악원장 임명은 계속 밀어붙이자 이번에 국악원의 전·현직 예술감독들이 나선 것이다.
한편, 국립국악원장 임명이 유력시 되는 인물은 유병채 문체부 국민소통실장으로 알려졌다. 유 실장은 대통령실 비서관을 지낸데다 김건희 여사의 KTV 국악공연 황제관람 논란과 관련해 지난해 국정감사장에서 위증을 했다가 현장에서 적발된 전력까지 있어서 논란이 더욱 커지고 있다.
장지영 선임기자 jy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