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와 전남도를 포함한 8개 지자체가 서해안철도(새만금~목포)의 국가철도망 구축 필요성을 강조하며 건설을 촉구하고 나섰다.
전남·북 지역 8개 지자체는 18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서해안철도 건설사업 국회 정책포럼’을 열고, 서해안철도를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반영할 것을 촉구하는 공동건의문을 채택했다. 이들은 철도망 필요성을 강조하는 퍼포먼스를 펼치고 8개 지자체 단체장이 서명한 명부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에 전달했다.
정책포럼에서는 김진희 연세대 교수가 발제를 통해 “산업·관광·물류가 어우러진 서해안권 발전을 견인할 중요한 인프라”라고 강조했다. 김상엽 전북연구원 박사도 “서해안고속도로의 상습 정체를 해소하고, 친환경 교통망을 구축하기 위해 철도망 확충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서해안은 대한민국 U자형 국가철도망에서 유일하게 단절된 구간이다. 군산~새만금~부안~고창~영광~함평~무안~목포(110㎞)로 이어지는 서해안철도를 건설하면 기존 서해선(송산~홍성) 장항선(온양온천~군산)과 연계돼 인천에서 목포까지 연결되는 핵심 간선철도로 기능할 수 있다. 수도권과 서해안이 하나의 철도망으로 묶이며, 서해안 경제벨트가 완성된다.
지자체들은 이를 통해 ‘수도권과의 접근성 향상’ ‘산업·물류 거점 기능 강화’ ‘관광 활성화’ ‘국가균형발전’ 등의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김관영 전북자치도지사는 “서해안철도는 지역균형발전과 국가 산업 경쟁력을 높이는 필수 사업”이라며 “정부가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반영해 조속한 착공이 이뤄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