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상찮은 가계대출… 당국, 강남 3구 등 집중 모니터링

입력 2025-03-16 18:57

서울시의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발표 이후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를 중심으로 주택 거래 및 집값이 급등세를 보이자 금융 당국이 이들 지역의 가계대출 추이를 집중 모니터링하기로 했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은행권 가계대출 선제 관리 차원에서 당분간 주택담보대출 신규 취급 추이 등을 지역별로 세분화해 살펴보기로 했다고 16일 밝혔다. 강남 3구 외에도 강동구를 포함한 동남권,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 등 주요 지역별 거래를 파악해 토허제 해제가 가계대출 수요에 미친 영향을 파악할 방침이다. 시기도 주간 단위로 좀 더 촘촘하게 들여다볼 계획이다. 지금까지는 지역 구분 없이 월별로 대출 신청 및 승인 건수, 규모만 집계해 왔다.

금융 당국의 이 같은 움직임은 토허제 해제 효과로 4~5월 가계대출이 급증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대출 신청 단계부터 선제적으로 관리하려는 차원으로 풀이된다. 연초 마이너스로 전환했던 가계대출은 지난달 4조3000억원 불어났다. 신학기 이사 수요, 금리 인하 기대감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충분히 관리 가능한 정도라는 게 금융 당국 입장이지만 토허제 해제라는 복병이 나타났다.

현재 금융 당국이 긴장을 놓지 않고 보는 건 주택 거래량이다. 토허제 해제 후 주택 거래량이 급증했는데, 가계대출은 주택 거래에 후행하는 만큼 4월 이후 가계대출이 급증할 가능성도 있다. 금융 당국 관계자는 “보통 계약하고 1~2달 후 대출이 실행된다. 지금부터 동향을 파악해서 나쁠 건 없다는 판단”이라고 말했다.

국제금융협회(IIF)의 세계 부채 최신 보고서를 보면 지난해 4분기 기준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91.7%로 나타났다. 지난해 2~3분기 급증했던 가계대출이 4분기에 진정되면서 전년 대비 1.9% 포인트나 떨어졌음에도 조사 대상 38개국 중 두 번째로 높았다. 한국보다 부채 비율이 높은 국가는 캐나다(100.6%)가 유일했다. 은행권 관계자는 “조그만 불씨에도 한국의 가계빚 문제는 더욱 심각해질 수 있다”고 말했다.

황인호 기자 inhovato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