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는 13일 군산에 있는 자동차융합기술원에서 산업통상자원부, 환경부 등 관계부처와 산업연구원, 한국전자기술연구원 등 연구기관, 이차전지 소재·재활용 기업이 참여하는 민관협의체 간담회를 개최했다.
간담회는 기획재정부 신성장전략기획추진단 주관으로 진행됐다. 이차전지 업계가 직면한 대내외적 어려움을 점검하고 민관 협력을 통한 대응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참석 기관들은 ‘전기차 시장 성장 둔화(전기차캐즘)’와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유럽연합(EU) 배터리법 등 주요국의 산업·통상정책 변화’ ‘핵심 광물 해외 의존도 증가’ 등에 대한 대응하기 위해 협력을 강화키로 했다.
간담회에선 미국 신정부 출범이 한국 배터리 산업에 미치는 영향과 대응 방안, 배터리 산업 동향 및 기술 전망 등에 대한 전문기관 발제가 진행됐다. 특화단지 내 소재·재활용 기업들의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정부의 정책 지원과 제도 개선 방안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도 이뤄졌다.
신원식 전북자치도 미래첨단산업국장은 “기재부를 비롯한 관계부처, 산업계와 긴밀히 협력해 도내 이차전지 기업들이 안정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신상훈 기재부 추진단장은 “대외 불확실성이 높아지고 있지만 위기는 곧 기회”라며 “차세대 기술 확보, 공급망 안정화, 수요 기반 확대 등을 통해 이차전지 산업이 재도약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전북도에 따르면 한국산 배터리는 지난해 기준 미국 시장 점유율 49.5%, 유럽 시장 점유율 50.8%를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 수산화리튬·천연흑연 등 핵심 광물과 음극재 등의 소재를 해외에 의존하고 있어, 원가 경쟁력 확보와 공급망 다변화가 절실한 상황이다.
이에 정부는 2023년 7월 ‘이차전지 전주기 공급망 완결 및 미래 수요 대응’을 목표로 새만금 이차전지 특화단지를 지정했다. 핵심 광물 가공과 재활용 중심지로 자리 잡은 특화단지에는 현재 20여개 기업이 9조6000억원 규모의 투자를 진행 중이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