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대응댐 후보 9곳 확정… 양구·단양·순천 보류

입력 2025-03-12 18:54 수정 2025-03-13 00:00
환경부 김완섭 장관이(가운데) 작년 7월 30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기후대응댐 후보지 안에 대한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물 공급과 홍수 예방을 위해 9개의 신규 댐을 건설하는 방안을 확정했다. 정부는 당초 ‘기후대응댐’ 후보지 14곳을 발표했지만 5곳은 지역 공감대가 충분히 형성되지 않았다고 판단했다. 주민 반대가 심한 수입천댐(강원 양구), 단양천댐(충북 단양), 옥천댐(전남 순천)은 일단 추진을 보류했다.

환경부는 12일 국가수자원관리위원회에서 이 같은 ‘제1차 하천유역수자원관리계획’을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 정부가 신규 댐 건설 지역을 확정·발표한 건 2012년 댐 건설 장기계획 이후 13년 만이다.

확정된 9곳은 아미천댐(경기 연천), 산기천댐(강원 삼척), 용두천댐(경북 예천), 고현천댐(경남 거제), 감천댐(경북 김천), 가례천댐(경남 의령), 회야강댐(울산 울주), 운문천댐(경북 청도), 병영천댐(전남 강진)이다. 이 중 운문천댐을 제외하면 모두 지방자치단체에서 댐을 지어 달라고 건의한 사례다.

후보지에서 빠진 5곳 중 동복천댐(전남 화순) 지천댐(충남 청양·부여)은 지역 주민 간 찬반이 크게 갈렸다. 정부는 지자체와 주민이 참여하는 협의체를 구성해 논의를 이어갈 계획이다.

반대 목소리가 컸던 수입천·단양천·옥천댐은 결국 댐 추진이 보류됐다. 수입천댐은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에 물을 공급할 예정이었는데, 이번 보류 결정 이후 산업용수 부족 문제 해결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질 것으로 보인다. 수입천댐은 총저수량 1억t으로 14곳 후보지 중에서 가장 규모가 컸다.

환경부는 상수도관망 정비 등 수자원 확보 대책으로 미래 물 부족량의 82%를 해소할 수 있다고 본다. 나머지 18%를 해결하기 위해 수입천·지천·단양천댐 등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일부 댐만 추진되면 과거 가장 심했던 가뭄이 또 발생했을 때 연간 20일 정도 물 공급이 어려워질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신규 댐 9개는 타당성 조사 등 건설을 위한 절차를 밟게 된다. 구체적인 위치와 규모 등은 댐 건설 기본계획에 담긴다. 환경부는 이르면 2027년 댐 건설 기본계획을 고시하고, 실제 물 공급은 2035년쯤 이뤄질 것으로 내다봤다.

세종=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