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우주당국이 공동으로 개발한 우주망원경 ‘스피어엑스’가 성공적으로 발사됐다. 스피어엑스는 향후 25개월간 3차원 우주 지도 제작을 위한 데이터를 관측하는 등 임무를 수행한다.
우주항공청에 따르면 스피어엑스는 12일(현지시간 10일) 오후 12시10분 미국 캘리포니아주 밴덴버그 우주기지에서 스페이스X의 ‘팰컨9’ 로켓에 실려 발사됐다. 이후 12시52분 발사체에서 분리돼 태양동기궤도(고도 650㎞ 지점)에 도달했다. 1시30분에는 항공우주국(NASA) 근우주 네트워크 노르웨이 스발바르 제도 지상국 센터와 처음으로 교신했다.
스피어엑스는 NASA와 한국천문연구원이 공동으로 개발한 우주망원경이다. 지상에서는 보기 힘든 적외선을 정확히 관측할 수 있는 게 특징이다. 전체 하늘을 102가지 색으로 관측해 세계 최초로 적외선 3차원 우주 지도를 개발하는 것이 목표다.
스피어엑스는 발사 후 37일간 초기 시험 가동 상태에 들어간다. 이 기간 동안 정밀하게 자세를 제어하고 자체 복사 냉각시스템을 통해 영하 210℃ 이하의 망원경 운영 온도를 확보할 계획이다. 망원경의 광학 및 분광 성능을 시험하는 작업과 첫 시험 관측이 함께 진행된다. 이후 스피어엑스는 25개월간 지구 극궤도를 98분 주기로 하루에 14.5바퀴 공전하며 관측 임무를 수행할 예정이다. 임무 기간 중 운영·관제는 NASA의 고다드 우주비행센터와 제트추진연구소가 총괄한다.
한국 측 연구를 지휘한 정웅섭 천문연 책임연구원은 “스피어엑스가 성공적으로 임무를 수행하면 적외선 3차원 우주 지도와 전천 분광 목록을 통해 우주의 생성과 진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세계 천문학자들이 이를 활용해 다양한 천체에 대한 연구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윤영빈 우주항공청장은 “스피어엑스 우주망원경의 성공적인 발사는 인류가 풀어나가야 할 중요한 과제인 우주 초기의 빛 탐색과 은하의 형성 과정에 있어 중대한 진전을 의미한다”며 “한국의 우주과학 분야 위상이 한층 높아졌음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김지훈 기자 germa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