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000만명을 넘어선 노인 인구가 빠르게 증가하면서 대표적인 노인성 질환인 치매 환자도 늘어나고 있다. 치매는 노인들이 암보다 더 무서워하는, 가장 두려워하는 병이다. 가족과 주변 사람들에게 신체적·정신적으로 큰 고통을 주는 것은 물론 경제적으로도 상당한 부담을 준다. 치매 환자 돌봄과 치료를 개인이나 가족에게만 맡겨놓을 순 없다. 국가가 더 적극적으로 대응에 나서야 한다.
보건복지부가 12일 발표한 치매 역학조사와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치매 환자 수는 97만명에 달한다. 내년엔 100만명, 2044년엔 200만명을 넘을 것으로 추정됐다. 치매 환자는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고 일반적인 질병 환자보다 돌봄 자체가 훨씬 어렵다. 실제 치매 환자 가족의 45.8%는 돌봄 부담을 느꼈고, 40%가량은 치매 환자로 인해 신체적·정신적·경제적으로 삶의 부정적인 변화를 경험했다.
그중에서도 가장 큰 어려움은 돌봄에 필요한 경제적 부담이었다. 지역사회 환자 가족의 38.3%, 시설·병원에 있는 환자 가족의 41.3%가 경제적 어려움을 호소했다. 가장 시급한 게 비용 경감인 만큼 치매 환자 가족들이 돌봄 부담의 수렁에 빠지지 않도록 정부 차원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복지부는 치매 조기 발견과 초기 집중관리 대책으로 전국 256곳의 치매안심센터 역할을 강화한다고 밝혔다. 또 가족의 돌봄 부담 경감을 위해 중증 수급자의 재가급여 한도액을 단계적으로 인상하기로 했다. 하지만 그걸로 부족하다. 건강보험 재정 합리화를 통해 노인성 질병 급여비를 확대하는 등 가족들의 경제적 부담을 완화해주는 방안을 더 적극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치매도 적극적으로 치료하면 관리가 가능한 병이라는 점을 널리 알려 과도한 공포나 우려로 효과적인 치료를 포기하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