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발 철강·알루미늄 25% 관세 발효

입력 2025-03-13 02:01
미국이 수입하는 모든 철강·알루미늄과 파생 제품에 12일(현지시간)부터 25%의 관세가 발효됐다. 약 1500억 달러(약 218조원) 규모의 철강·알루미늄 관련 수입품이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사진은 이날 경기도 화성의 한 알루미늄 제조 업체 공장에 제품이 놓여 있는 모습.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예고한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에 대한 25% 관세 부과가 12일(현지시간)부터 발효됐다. 철강·알루미늄 관세는 트럼프 2기 출범 이후 미국이 모든 무역 상대국에 적용하는 첫 사례로 한국도 영향권에 들게 됐다.

트럼프 대통령의 기존 행정명령에 따라 미국이 수입하는 모든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대해 이날 0시1분부터 25%의 관세가 부과되기 시작했다. 한국도 2018년 미국과의 협상을 통해 철강에 적용받던 기존 면세 쿼터(연간 263만t)가 폐기됐다.

트럼프는 지난달 철강·알루미늄 관련 관세 면제를 종료하고 새로운 면제도 금지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백악관은 일부 국가에 대한 관세 면제가 의도치 않게 허점을 만들어 중국산 철강이 다른 국가를 거쳐 무관세로 미국에 유입되는 결과를 초래했다고 판단하고 있다.

트럼프는 이날도 관세 예찬을 이어갔다. 그는 워싱턴DC에서 주요 기업 최고경영자들을 만난 자리에서 “관세가 (경제에) 엄청나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앞으로도 그럴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그들(해외 기업)은 25%든 어떤 관세가 되든 내고 싶지 않아 한다”며 “관세는 더 높을 수도 있다. 높을수록 기업들이 (미국에 공장을) 건설할 것인데, 궁극적으로 가장 큰 성과는 그들이 우리나라로 오게 되면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는 이날 철강·알루미늄 관세 발효 직전까지 캐나다와 기 싸움을 벌였다. 그는 전날 오전 트루스소셜에서 “나는 상무장관에게 세계 최고율 관세를 부과하는 국가 중 하나인 캐나다에서 미국으로 들어오는 모든 철강과 알루미늄에 대해 25%를 추가한 50%의 관세를 부과하도록 지시했다. 이는 12일 아침부터 시행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앞서 캐나다 온타리오 주정부가 10일부터 미국으로 수출하는 전기에 대해 25% 수출세를 부과한 것에 대한 보복 대응이었다.

하지만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과 더그 포드 온타리오 주총리의 통화 이후 관세는 다시 원점(25%)으로 돌아갔다. 온타리오주가 대미 수출 전기에 대한 할증료 부과를 잠정 중단한다며 한발 물러서자 트럼프도 관세 추가 부과를 철회한 것이다.

미국의 철강·알루미늄 관세 부과에 맞서 유럽연합(EU)도 보복 조치에 나섰다. EU 집행위원회는 이날 미국의 관세에 대한 대응 조치로 약 260억 유로(41조원) 규모의 미국산 제품에 대해 4월부터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다.

워싱턴=임성수 특파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