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서울 광화문광장으로 나가 12년 만의 ‘천막 정치’에 돌입했다.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가 임박하자 총력 여론전에 나선 것이다. 일부 의원들은 윤 대통령 파면을 촉구하며 단식과 삭발 투쟁에 돌입했다. 윤 대통령 석방이 불을 댕긴 모양새인데, 과거 운동권식 투쟁 방식을 되풀이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민주당은 11일부터 광화문광장에 천막을 치고 농성에 들어갔다. 저녁 도심집회 뒤에는 천막 의원총회 및 의원들의 릴레이 규탄 발언도 있었다.
민주당이 거리 투쟁에 나선 것은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를 앞두고 헌법재판소를 압박하기 위한 여론전 성격이 짙다. 민주당 내부에선 윤 대통령 구속 취소 결정 여파가 헌재 탄핵심판에까지 미칠 수 있다는 위기감이 고조된 상황이다. 민주당 지도부 관계자는 “국민이 불안해하고 있는데 헌재 판결을 기다리기만 할 수는 없다”며 “국민 의지를 결집하고 윤 대통령 신속 파면을 촉구하기 위해 당연히 필요한 일”이라고 말했다.
‘윤석열 탄핵 국회의원 연대’ 소속 박수현·민형배·김준혁 민주당 의원과 윤종오 진보당 원내대표는 광화문에서 단식을 시작했다. 이들은 윤 대통령 즉각 재구속, 심우정 검찰총장 사퇴 등을 요구하며 윤 대통령 파면이 결정될 때까지 단식하겠다고 밝혔다.
민주당 소속 박홍배·김문수·전진숙 의원은 국회 본청 앞 계단에서 삭발을 했다. 삭발식이 진행되는 동안 안중근 의사를 주인공으로 한 뮤지컬 ‘영웅’의 대표곡인 ‘장부가’가 흘러나왔다. 전 의원은 “제 머리카락으로 짚신을 지어 헌법재판관에게 보내겠다”며 헌재의 신속 결정을 촉구했다. 김동연 경기지사와 김영록 전남지사, 강기정 광주시장 등 민주당 소속 지방자치단체장들은 각자 지역에서 1인 시위도 진행 중이다.
이재명 대표는 12일 김부겸 전 국무총리, 김경수 전 경남지사, 박용진 전 의원, 이광재 전 국회 사무총장, 임종석 전 대통령비서실장 등과 경복궁 천막에서 ‘국난 극복을 위한 시국 간담회’를 연다. 12,13일 이틀간 국회에서 광화문까지 도보 행진도 할 예정이다.
민주당이 천막을 치고 거리에 나선 건 2013년 김한길 전 대표 시절 새정치민주연합(민주당 전신) 이후 12년 만이다. 당시 새정치민주연합은 국가정보원 개혁을 요구하며 서울시청 앞에 천막 당사를 설치했지만 오히려 당 지지율이 하락했고 결국 국회로 ‘빈손 복귀’한 경험이 있다.
당내에선 운동권 투쟁 방식을 종합선물세트처럼 나열하는 방식의 실효성에 의문도 제기된다. 헌재 결정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보여주기식’ 이벤트라는 것이다. 한 중진 의원은 “탄핵심판 결과를 차분히 기다리면서 민생 회복에 집중하는 게 맞는다”며 “이런 강경 행보는 지지율만 떨어뜨릴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에 윤종군 원내대변인은 “내란 상태 지속보다는 거리 정치가 훨씬 낫다”고 말했다.
이동환 송경모 기자 hu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