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K 김병주 회장 증인 세운다… 국회, 18일 홈플사태 의혹 추궁

입력 2025-03-12 02:10
여야가 11일 국회 정무위원회 전체회의를 열고 최근 ‘홈플러스 사태’와 관련해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 등 5명을 증인으로 채택하는 안건을 의결하고 있다. 연합뉴스

여야가 ‘홈플러스 사태’와 관련해 김병주(사진) MBK파트너스(MBK) 회장 등 관계자들을 국회로 불러 책임을 추궁하기로 했다. MBK가 차입매수(LBO) 방식으로 홈플러스를 무리하게 인수한 탓에 경영난이 심화했다는 의혹, 미리 사태를 예측하고도 회생신청 직전까지 기업어음(CP)을 판매했다는 의혹 등을 따져 물을 전망이다.


국회 정무위원회는 11일 전체회의에서 김 회장을 오는 18일로 예정된 긴급현안질의에 증인으로 부르는 방안을 의결했다. 김광일 MBK 부회장 겸 홈플러스 공동대표, 조주연 홈플러스 공동대표, 금정호 신영증권 사장 등도 함께 증인으로 채택됐다.

홈플러스 최대주주인 사모펀드 운용사 MBK는 지난 4일 기업회생절차 개시를 신청했다. MBK 측은 앞서 지난달 28일 홈플러스의 신용등급이 떨어진 데 따른 단기자금 상환 부담을 덜고자 취한 조치라고 설명했지만, 투자자들과 납품업체·입점 점주 등을 중심으로 피해 우려가 확산했다.

정무위는 이번 현안질의에서 MBK의 배임 의혹을 추궁한다는 계획이다. 2015년 홈플러스 인수 당시 홈플러스의 자산을 담보로 대출을 받아 자금을 조달해놓고, 이후 ‘알짜배기 점포’를 처분해 빚을 갚으며 경영난을 심화시켰다는 것이다. 회생신청이 신용등급 하향 이후 방어적 차원에서 갑작스레 결정됐다는 MBK 측 주장도 검증대에 오를 전망이다.

다만 증인들이 실제 현안질의에 출석할지는 미지수다. 김 회장은 지난해 10월 고려아연에 대한 적대적 인수합병 건과 관련해 국정감사 증인으로 채택됐으나 국회에 나오지 않았다.

민병덕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홈플러스 사태는 ‘티메프(티몬·위메프) 사태’의 오프라인 판”이라며 “노조위원장 정도는 들어와야 (노동자들의) 불안감을 얘기할 기회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는 이날 방송통신심의위원회 ‘민원사주 의혹’과 관련해 감사원 감사요구안과 류희림 방심위원장 사퇴 결의안을 야당 단독으로 통과시켰다. 류 위원장에 대해선 현안질의 불출석을 이유로 고발도 의결했다.

송경모 기자 ss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