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품업계가 ‘뷰티 모시기’에 나섰다. 1854년 창립 이후 단 한 번도 화장품을 출시하지 않았던 루이비통마저 최근 뷰티 시장에 진출했다. 경기 침체로 명품 가방과 의류 판매가 둔화하는 반면, 화장품 시장은 꾸준히 성장하면서다. 불황 속 작은 사치를 뜻하는 ‘립스틱 효과’가 다시 한번 주목받고 있다. “백은 못 사더라도, 립스틱은 바를 수 있다”는 전략이 여전히 유효한 것으로 분석된다.
11일 명품업계에 따르면 세계 최대 럭셔리 기업 루이비통모에헤네시(LVMH)그룹의 핵심 브랜드 루이비통이 코스메틱 부문을 신설하고 ‘라 보떼 루이비통’ 컬렉션을 신규 출시한다. 뷰티 파우치 등을 판매한 적은 있지만 루이비통이 화장품을 출시하는 것은 창립 171년 만에 처음이다.
코로나19 엔데믹 이후 대부분 업종에서 장기불황을 호소하지만 뷰티 시장만큼은 활발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LVMH그룹 전체의 지난해 매출은 846억8300만 유로로 전년도 보다 1.7% 감소했다. 패션·가죽제품과 시계·주얼리 카테고리는 각각 전년 대비 2.6%, 3.0% 줄었다. 반면 향수·코스메틱 매출은 1.8%, 뷰티 편집숍 세포라가 포함된 특수 리테일 부문은 2.1% 증가했다.
백화점에서도 비슷한 경향이 확인된다. 지난해 롯데백화점의 럭셔리 화장품 매출은 2023년보다 약 20% 증가했다. 신세계백화점과 현대백화점 역시 각각 16.3%, 24.0% 늘었다. 길어진 경기 침체에 스몰럭셔리 제품인 립스틱, 향수, 액세서리 등의 판매가 급증하며 립스틱 효과가 다시금 입증됐다.
이같은 최신 소비패턴을 분석한 럭셔리 브랜드들은 화장품 시장 확장에 적극적이다. 루이비통 뿐 아니라 프랑스 패션 브랜드 자크뮈스 역시 글로벌 화장품 기업 로레알과 파트너십을 맺고 뷰티산업에 뛰어들었다. 프라다는 2023년 화장품 라인을 론칭한 뒤 지난해 8월 국내 시장에도 진출했다. 지난 1월에는 서울 성동구 성수동에 국내 첫 단독 매장 ‘프라다 뷰티 성수’를 열었다.
명품 브랜드의 뷰티 시장 진출과 맞물려 국내 이커머스 기업들도 럭셔리 화장품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쿠팡은 최근 럭셔리 화장품 전용 앱 ‘알럭스(R.LUX)’를 출시하고 럭셔리 화장품 시장 공략에 나섰다.
온라인에서 명품 화장품을 구매하는 소비자의 증가는 이커머스업계의 변화를 이끄는 포인트 중 하나다. 오프라인 명품 매장 중심의 전통적인 뷰티 상품 유통 구조가 빠르게 재편되면서 시장의 지형에도 영향을 미치는 형국이다. 명품 브랜드 화장품은 뷰티 아이템을 넘어 브랜드를 처음 경험할 수 있는 ‘입문템’으로써 소비되는 측면이 있다. 명품을 재테크나 투자 개념으로 받아들이는 이들이 많아지면서 명품 뷰티 시장의 확장 가능성이 더 커진 것으로 분석된다.
화장품업계 한 관계자는 “사치재 소비가 둔화하면서 뷰티 시장 진출이 늘었다“며 “화장품은 물가 대비 비교적 안정적인 소비 흐름을 보이는 데다 보관도 용이하고 유행도 잘 타지 않기 때문에 안정적인 운영이 가능하다고 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다연 기자 id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