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이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당일에 헌법재판소가 있는 서울 종로구·중구 일대를 ‘특별범죄 예방 강화구역’으로 지정하고 가용할 수 있는 경력과 장비를 총동원키로 했다. 경찰은 폭발물 사고와 인명 구조에 대비해 특공대를 투입하는 방안도 유력하게 검토 중이다.
박현수 서울경찰청장 직무대리는 10일 정례 기자간담회에서 “헌재와 헌재 주변에서 시위대 충돌 방지, 헌법재판관 보호, 대규모 인파 관리에 신경 써야 한다”며 “총경급(일선 경찰서장급) 30여명이 동원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또 “종로구와 중구 일대는 특별범죄 예방 강화구역으로 지정하고 8개 구역으로 나눠 관리할 것”이라며 “총경급의 지역장이 구역별로 형사기동대, 기동순찰대, 지역 경찰 등을 지휘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8개 지역장은 서울 지역 경찰서장이 맡을 예정이다.
특별범죄 예방 강화구역은 2010년 서울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2014년 인천 아시안게임 등 국제행사 당시 지정된 전례가 있다고 경찰은 설명했다. 박 직무대리는 특공대 투입과 관련해 “집회·시위를 저지하려는 목적이 아니라 폭발물 탐지와 인명 구조가 특공대 임무여서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비상 상황을 대비해 구급차나 112 순찰차를 집회현장에 사전 배치하고, 시위대가 주유소나 공사장 등 위험시설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미리 폐쇄하는 방안도 시행 가능성이 크다. 경찰은 현장 곳곳에 배치된 형사들이 폭력·불법 행위자를 체포한 뒤 이들을 경찰서로 연행하는 ‘호송조’도 운영할 방침이다.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캡사이신 스프레이나 120㎝짜리 장봉 등 경찰이 보유한 시위 관련 장비를 총동원해 대응 훈련도 하고 있다. 박 직무대리는 “헌재로부터 100m 이내 구역은 집회 금지 지역”이라며 “차벽으로 둘러싸서 ‘진공상태’로 만들 것”이라고 강조했다.
경찰은 이철규 국민의힘 의원 아들의 마약 구매 의혹 사건과 관련해 이 의원 아들의 지인 1명을 추가 입건했다고 밝혔다.
경찰은 이 의원 아들을 특정(1월 3일)한 뒤 체포(2월 25일)하기까지 53일이나 걸렸다. 박 직무대리는 늑장 수사 의혹에 대해 “(관할) 서초경찰서 마약팀이 다른 마약 사건 13건도 수사 중이었다”며 “정치인 아들 관련 수사도 통상적인 절차에 따라 수사한 것”이라고 말했다.
신재희 기자 jsh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