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회생 절차(법정관리)에 들어간 홈플러스가 개인이나 법인에 판매한 소매채권이 약 60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업계에서는 이번 사태가 불완전판매 이슈로 확산할 것을 우려하고 있다. 법정관리로 금융채권 상환이 유예되지만 일부 채권이 부도 처리되며 금융당국은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9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사 부채 등을 제외한 홈플러스의 금융채권은 카드 대금 채권을 기초로 발행된 유동화증권(ABSTB), 기업어음(CP), 전자단기사채(전단채) 등 약 6000억원 규모다.
홈플러스는 물품대금, 외상담보채권 등 상거래채권 등을 변제하겠다고 밝혔지만 금융채권 일부는 채무불이행에 들어섰다. 나이스신용평가에 따르면 홈플러스의 유동화증권은 에스와이플러스제일차가 발행한 3739억원, 에스와이플러스제이차가 발행한 281억원 등 4019억원 규모다. 신용평가사들은 에스와이플러스제일차가 발행한 전량을 지난 6일 부도처리했다. 에스플러스제이차가 발행한 281억원도 부도처리될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이 중 3000억원 규모가 소매판매됐다는 것이다. 업계에서는 이와 관련해 불완전판매 논란이 불거질 수 있다고 전망한다. 홈플러스는 기업회생신청 일주일 전인 지난달 25일 CP를 발행해 시장에서 돈을 빌렸다. 홈플러스와 MBK뿐만 아니라 판매 신용평가 위험을 제대로 설명하지 않은 판매 증권사에도 책임을 물어야 한다는 비판이 나온다.
홈플러스가 신용등급 하락을 예상하고 기업회생신청 직전 CP를 발행했다는 일부 언론보도에 홈플러스는 반박했다. 홈플러스는 입장문을 통해 “전년 대비 주요 재무지표가 크게 개선되고 각종 사업지표도 개선돼서 예상하지 못한 일”이라고 했다.
하지만 이미 지난해부터 MBK파트너스와 국민연금 등 기관투자자들 간 홈플러스 가치평가에 이견이 있었던 것으로 전해지면서 시장의 의구심은 여전한 상황이다. 국민연금 등은 홈플러스 투자분을 ‘회수 불능’으로 판단하고 손실 처리한 것으로 드러났다.
금융당국은 홈플러스가 외상매출채권 3000억원과 외상매출채권담보대출 300억원 등 상거래채권 변제를 위한 유동성을 확보하는지 주시할 방침이다. 외담대는 협력업체가 홈플러스에서 받을 판매대금을 담보로 은행에서 돈을 빌리는 것으로, 협력업체가 아닌 홈플러스가 은행에 대금을 상환한다. 대출 만기 시점까지 홈플러스가 돈을 납부하지 못하면 소구권에 따라 협력업체가 대신 갚아야 한다. 은행권은 협력업체들이 납품 대금 지연으로 경영난에 빠지지 않도록 긴급 경영안정자금을 지원하기로 했다.
이가현 구정하 기자 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