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는 코로나 팬데믹 이후 모바일 결제가 빠르게 확산된 곳입니다. 교통 등 인프라가 좋지 않아 온라인 거래가 더욱 유리했죠.”
맹현철(사진)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선임연구원(전 인도 방갈로르 경영대학원 교수)은 지난 5일 국민일보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인도 경제가 주요국 중에서 높은 경제 성장률을 보이는 이유 중 하나로 모바일 중심의 민간 소비 활성화를 꼽았다. 인도의 2024~2025 회계연도(2024년 4월~2025년 3월)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6.5%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전 회계연도(8.2%) 대비 둔화됐지만 여전히 주요국 중 최고 수준이다.
인도는 소득 격차가 큰 나라로 알려졌지만 구매력을 가진 중산층이 계속 커지고 있다는 게 맹 연구원 진단이다. 그는 “인도 중산층이 5억명(2024년 기준 전체 인구 14억5094만명)이 넘는다는 추산도 있다”며 “생애 첫 (가전제품 등) 내구재 구매도 늘어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인도 정부가 주도하는 경제 성장 육성책이 일자리와 중산층을 늘리는데 한몫했다. 맹 연구원은 “나렌드라 모디 총리는 취임 초기부터 인프라 투자 확대, 제조업 육성, 디지털 인프라 확충 등 경제 성장 정책을 적극 시행했다”라며 “‘메이크 인 인디아(Make in India)’라는 구호로 제조업을 인도에 유치하는 데 노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인도 정부는 스마트폰을 큰 성공 사례로 든다. 최종 조립 기준으로 인도에서 사용되는 스마트폰 90%가 인도에서 생산된다.
앞으로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 정책이 어떻게 적용될지가 관건이다. 인도는 미국과 관세 협상에 나선 상황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7일(현지시간) “(인도가) 관세를 훨씬 낮추기로 합의했다”고 언급했다. 맹 연구원은 “트럼프 1기는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인도를 지원했지만, 지금은 사뭇 분위기가 다르다”며 “만약 인도에 고관세를 적용해 인도의 대미 무역 흑자가 줄어들면 이는 인도 경제에 큰 악영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광수 기자 g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