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성북구 사랑인교회(주정일 목사)는 입구에서부터 향긋한 커피 향이 가득했다. 바리스타 앞치마를 두른 주정일 목사가 밝은 미소로 방문객을 맞이했다. 그는 교회 내에 있는 ‘사랑인카페’에서 에스프레소 기계로 추출한 커피를 빵과 함께 제공했다.
지난달 27일 사랑인교회에 기독교대한감리회(기감) 서울연회 성북지방회 임인규 감리사를 비롯해 성북지방회 목회자 등 10여명이 모였다. 사랑인교회가 감리교 목회지원센터의 ‘카페 장비 지원사업’에 힘입어 1호 카페교회에 선정된 것을 축하하기 위해서였다. 주 목사는 “개척한 지 7년 정도 됐는데 지금이 세 번째 성전”이라며 “처음부터 교회 공간의 한쪽을 카페로 꾸며 성도들, 지역주민과 소통하는 공간으로 활용했다”고 말했다.
개척 초기부터 커피로 지역사회와 접촉점을 마련한 이 교회는 평소 지역주민들에게 무료 커피 쿠폰을 제공한다. 주 목사는 “향후 바리스타 양성기관으로 교회 사랑인카페를 활용하고 싶다”고 기대감을 내비쳤다.
커피로 선교의 문을 여는 일은 감리교 목회지원센터 이사장인 최우성 태은교회 목사가 기획했다. 조남원 태은교회 원로전도사의 후원으로 에스프레소 기계 제공이 이뤄졌다. 강원대 커피과학과 교수로도 활동하는 최 목사는 작은 교회에서 커피 선교가 가능하도록 교육 등을 진행했다. 그는 “교회 유휴공간을 문화적 교육적으로 활용함으로써 지역사회와의 연결 고리를 강화할 수 있다”며 “20호 카페 장비 지원 교회까지 선정하는 게 목표”라고 말했다.
에스프레소 기계는 일반인이 다루기 까다로운 고가의 장비에 속한다. 그래서 최 목사에게 훈련받고 바리스타 자격증을 취득한 목회자를 대상으로 선정한다. 주 목사 부부는 지난해 12월 감신대 평생교육원에서 바리스타 과정을 수료한 뒤 자격증을 취득했다.
이날 임 감리사는 서울연회 성북지방에 소속된 작은 교회 목회자의 바리스타 수강료를 지원키로 했다. 임 감리사는 “사랑인교회는 작은 교회에서 커피를 선교에 활용한 사례로 매우 고무적인 일”이라고 밝혔다.
커피를 즐기던 최 목사가 커피 교육에 본격적으로 뛰어든 건 2010년. 취미로 시작한 바리스타 교육이 지역에서 인기 강의가 되자 이 일을 지속해 왔다. 다양한 지역주민을 커피로 만날 수 있는 것이 가장 보람된 일이다. 최 목사는 “지금까지 커피를 가르치면서 80여명을 전도했고 이들 중 많은 이들이 교회에 정착했다”고 전했다.
지역사회를 섬기는 일은 장학금 전달로도 이어진다. 그는 커피교육 강사비를 모아 지역 청소년들에게 웨슬리장학금을 주는 일도 해왔는데 현재까지 1억3000만원을 전달했다. 4년 전 이 같은 공로를 인정받아 중랑구민 대상도 받았다.
커피는 해외 선교지에서도 효과적인 선교의 도구가 될 수 있다. 선교사를 대상으로 바리스타 교육을 한 최 목사는 그동안 선교지에 교육장과 카페를 세웠으며 선교지의 청년들이 국내에 들어오면 카페에서 일하며 실력을 키울 수 있도록 도왔다. 현재 이집트 인도 필리핀 러시아 등에서 선교 카페를 운영 중이다.
교계에서는 10여년 전부터 카페교회 트렌드가 이어지고 있는데, 최 목사는 커피 선교의 방향으로 나눔과 소통을 강조했다. 그는 “카페교회는 대부분 주민을 대상으로 커피를 판매해 임대료와 교회 운영비를 마련하는 구조”라면서 “교회를 카페처럼 운영하는 카페교회도 많이 생겼고 일부 성공 사례도 있지만 주객이 전도돼 교회보다 카페의 기능이 강조되면 실패로 끝나기 마련”이라고 지적했다.
그래서 최 목사는 “카페교회로 선정된 교회들이 교육사업도 지속할 수 있도록 목회지원센터에서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아영 기자 sing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