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주자들 ‘사전투표’ 갑론을박… “폐지, 본투표일 연장” “허점 보완”

입력 2025-03-07 02:01
국민의힘 대선 잠룡인 안철수 의원과 오세훈 서울시장이 6일 서울 여의도 국회도서관에서 열린 '분권형 권력구조 개헌 대토론회'에 참석해 대화하고 있다. 이병주 기자

여권의 잠재적 대선 주자들 사이에 사전투표 폐지 문제를 두고 갑론을박이 이어지는 중이다. 오세훈 서울시장과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는 사전투표 폐지와 본투표일 연장을 주장하고 있다. 반면 홍준표 대구시장과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은 “투표 관리만 잘하면 될 문제”라며 사전투표 폐지에 반대 뜻을 밝혔다. 조기 대선이 현실화할 경우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 찬반과 별개로 사전투표 폐지 이슈를 두고도 주자들 간 찬반 전선이 형성될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여당 내 사전투표 폐지론은 최근 장동혁 의원이 사전투표를 폐지하는 대신 본투표일을 3일간 하는 내용의 공직선거법 개정안을 발의하면서 본격 불붙었다. 국민의힘 지도부는 “당 차원의 입법이 아니다”며 선을 긋고 있지만 대권 ‘잠룡’들 사이에서는 찬반이 엇갈리면서 쟁점화되는 양상이다.

오 시장은 5일 기자들과 만나 “사전투표 효용성, 운영 과정상 부실 문제는 여러 차례 제기됐다. 여러 장단점이 있음에도 사흘 연속 투표하는 방안이 대안으로 검토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 전 대표도 지난 2일 “(사전투표와 본투표 사이) 중간 이슈가 반영되지 않는 부분과 선거운동 기간이 짧아지는 부분에 대한 우려가 있다. 사전투표 대신 본투표 기간을 늘리는 개선이 필요하다”며 사전투표 폐지론에 힘을 실었다.

사전투표는 공식 선거일 4~5일 전 주소와 관계 없이 전국 어디서든 투표할 수 있도록 한 제도로 2014년 지방선거 때부터 전면 도입됐다. 다만 투표율 제고에 기여했다는 평가와는 별개로 사전투표일 이후 후보 단일화 등 정치 상황 변화가 있을 경우 취약하다는 우려도 제기됐다. 특히 일부 강성 보수층 사이에서 ‘투표함 바꿔치기’ 같은 부정선거 음모론의 주요 소재가 돼 왔다. 일각에서는 부정선거론에 동의하지 않는 오 시장, 한 전 대표 등이 우회적으로 선거 절차를 문제 삼아 보수 민심에 호소하려는 것 아니냐는 해석도 나왔다.

안 의원도 6일 통화에서 “투표율을 높이자고 추진한 사전투표제를 돌연 폐지하자는 건 결국 부정선거론을 의식한 것”이라고 말했다. 안 의원은 “지금은 사전투표 폐지가 아니라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100% 전자 투개표 시스템 도입을 논의할 때”라고 주장했다. 홍준표 대구시장도 지난 5일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투표함 관리를 철저히 잘해서 투표율을 높이게 해야지 왜 폐지하느냐”며 사전투표 폐지론에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