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인촌 “서울예술단, 광주로… 국립예술단체 지방 이전”

입력 2025-03-07 01:11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6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문화·체육·관광분야 중장기 문화정책 ‘문화한국 2035’ 브리핑에서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화체육관광부가 올해 안에 4개 장르의 국립청년예술단체(한국무용·연극·오케스트라·전통연희)를 지역에 설치하고, 내년엔 서울예술단을 광주 국립아시아문화전당으로 옮기는 등 국립예술단체와 산하 공공기관의 지역 이전을 단계적으로 추진한다. 유인촌 문화체육부 장관은 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중장기 문화정책 ‘문화한국 2035’ 브리핑에서 “국립예술단체와 공공기관은 국가의 균형 발전에 기여해야 할 의무가 있다”며 이같이 발표했다.

‘문화한국 2035’는 지역 문화 균형 발전, 저출생·고령화 등 사회 위기 문화적 대응, 콘텐츠·관광·스포츠 등 산업 생태계 혁신, 문화 분야 인공지능(AI) 대전환, 세계 문화 리더십 제고, 문화 역량 제고를 6대 방향으로 선정하고 그에 따른 30대 핵심과제를 제시했다. 특히 핵심과제 가운데 AI 시대를 맞아 저작권 체계를 전면 개편하고 공공 데이터 구축 및 활용에 적극적으로 나서겠다고 강조했다.

‘문화한국 2035’가 첫 번째로 꼽은 지역 문화 균형 발전과 관련해 문체부는 국립예술단체와 산하 공공기관의 지역 이전 및 분원 신설을 내걸었다. 이와 관련해 문체부는 국립오페라단, 국립발레단, 국립합창단, 국립심포니 오케스트라, 국립현대무용단 등 5개 국립예술단체의 통합을 추진했다가 최근 ‘졸속 행정’이라는 반발에 직면했다. 유 장관은 “5개 국립예술단체의 통합은 행정 업무를 합치는 사무처 통합이라 단체의 예술성이나 자율성을 침해하지 않는다. 예술단체가 예술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시작했는데, 반대가 거세서 놀랐다”면서 “국립예술단체와 논의해서 올해 안에 (통합에 대해) 잘 정리하겠다. 다만 끝까지 반대하면 추진하지 않을 수도 있다”고 밝혔다.

국립예술단체의 통합 여부와 상관없이 지방 이전은 추진된다. 광주 이전이 발표된 서울예술단의 경우 ‘국립아시아예술단’으로 명칭도 변경된다. 하지만 이날 서울예술단은 문체부 발표가 일방적이라며 반발하고 나섰다. 서울예술단은 “단원들과 제대로 된 논의 없이 이뤄진 발표”라며 반발하고 나섰다.

유 장관은 탄핵 정국에 ‘문화한국 2035’를 발표한 이유에 대해 “우리를 둘러싼 환경의 변화가 크기 때문에 지금 시작하지 않으면 대비가 늦을 수 있다”면서 “문체부의 수장으로서 원래 예정했던 대로 진행한 것이다. 특히 사업 추진을 위한 내년 예산 등을 고려할 때 지금 발표해야만 했다”고 말했다.

장지영 선임기자 jy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