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가 지역 인구 감소를 막기 위해 1조1031억원을 투입한다.
울산시는 6일 인구정책위원회를 열어 ‘2025년 인구정책 시행계획’을 심의했다.
올해 인구정책 시행계획은 ‘모든 세대가 행복하고 살고 싶은 도시 울산’을 비전으로 미래성장도시 기반 강화, 정주 여건 개선, 생애 전반 맞춤형 지원 강화, 인구 변화 선제 대응 등 4개 분야로 구성됐다.
미래성장도시 기반을 위해 시는 분산에너지특구 지정과 도심융합특구 조성, 울산형 광역비자 등을 시행한다. 트램 건설 추진과 함께 층간소음 방지 매트 지원 등 수요자 중심의 주거 지원으로 정주 여건 개선에 나선다.
생애 전반 맞춤형 지원을 위해서는 조부모 손주 돌봄 수당 30만원 지원, 달빛어린이집 추가 지정 운영, 아이문화패스 카드 지급 등을 추진한다. 또 교육발전특구 운영, 노인 버스 무료 사업 등을 한다.
울산은 산업화로 도시 규모가 커지면서 1997년 광역시로 승격했고, 이후 인구가 계속 증가해 2015년 119만9700명으로 정점을 찍었다. 하지만 이후 내리막길을 걸었다. 지난해 울산 인구는 109만8000여명으로 110만명 선이 무너졌다. 다행히 2023년 9월부터 증가하기 시작해 최근까지 소폭의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고 있다.
울산 인구는 올해 1월 기준 112만5532명이다. 내국인은 109만7821명, 외국인은 2만7711명이다. 내국인 유출 감소와 외국인 유입으로 인구 감소는 둔화하고 있다고 시는 설명했다.
지난 2월 26일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지난해 울산의 출생아 수는 5300명으로 전년 대비 200명(4%) 증가했다. 합계출산율은 0.86명으로 특·광역시 중 1위를 기록했다.
지난해 울산의 출생아 수가 늘고 합계출산율도 증가한 것은 2030세대의 이른바 ‘탈울산’이 눈에 띄게 줄었고, 조선업 수주호황기를 맞아 오히려 울산으로 유입되는 젊은 층이 늘어난 영향으로 풀이된다. 또 출산율을 높이기 위한 울산시 등 지자체의 노력과 산모, 유아에 대한 복지·의료 수준이 높아진 것도 긍정적으로 작용한 결과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김두겸 울산시장은 “지난해 출생아 수와 합계출산율 증가는 투자유치를 통한 일자리 창출과 인구 유입, 안정적 생활, 결혼, 출산이라는 선순환 고리로 이어진 결과라고 생각한다”며 “다양한 분야에서 실효성 높은 정책을 추진해 인구 감소에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울산=조원일 기자 wc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