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태악(사진) 중앙선거관리위원장이 5일 “선관위의 조직 운영에 대한 불신이 선거과정에 대한 불신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에 책임을 통감하고 있다”며 대국민 사과를 했다. 선관위는 감사원이 징계를 요구한 채용비리 연루직원 18명에 대한 징계 절차에도 착수했다.
강성 보수층을 중심으로 부정선거 음모론이 확산하는 상황에서 채용비리 문제까지 불거지자 선거 관리 전반에 대한 신뢰가 무너질 수 있다는 우려가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노 위원장은 대국민 사과문을 내고 “선관위는 고위직 간부들의 자녀 특혜채용 문제로 국민 여러분께 큰 실망과 걱정을 끼쳐드렸다”며 “위원장으로서 통렬한 반성과 함께 머리 숙여 사과드린다”고 밝혔다. 전날 선관위의 사과 입장이 나온 데 이어 선관위 수장도 재차 고개를 숙인 것이다. 노 위원장은 2023년 3월 채용비리 문제가 처음 불거졌을 때도 대국민 사과문을 냈었다.
노 위원장은 “특혜채용 문제와 관련해 부적정하게 업무를 처리한 직원에 대해서는 오늘 징계위원회에 징계요구를 했다”며 “감사원이 요구한 징계 수준과 선관위 내부 기준을 고려해 엄중 조치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선관위는 특혜채용을 통해 들어온 자녀 직원 10명에 대해서는 6일자로 직무배제 조치했다. 선관위는 “감사원의 징계 대상자에 포함되지 않았지만 자녀 직원들을 계속 근무하게 하는 것은 국민 눈높이에 맞지 않는 부분이 있어 현실적인 조치 방안으로 직무에서 배제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노 위원장은 “그동안 마련했던 제도 개선에 안주하지 않고 다양한 외부통제 방안도 적극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김용빈 선관위 사무총장도 이날 국회에 나와 “(제도 개선이) 충분한지 아닌지에 대해 국민들의 의혹이 있다면 적극적으로 협조해서 보여드리겠다”고 말했다.
김 사무총장은 일각의 부정선거 주장에 대해 “부실관리라고 말씀드린다. (부정선거라면) 위조된 투표지를 투표함에 넣는 행위가 있어야 하지 않나”라며 “직접 투표장에서 봤겠지만 참관인들이 투표함을 다 보고 있다”고 반박했다.
정현수 기자 jukebo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