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으로부터 광물협정에 서명할 준비가 됐다는 내용의 서한을 받았다고 4일(현지시간) 밝혔다. 두 정상이 백악관에서 공개 설전을 벌이며 양국 관계가 파국으로 치달은지 나흘 만에 젤렌스키 대통령이 사실상 항복 선언을 한 셈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상하원 합동연설에서 “젤렌스키로부터 중요한 서한을 받았다”며 “그는 우크라이나가 지속 가능한 평화를 위해 가능한 한 빨리 협상 테이블에 앉을 준비가 돼 있으며 우크라이나인보다 평화를 원하는 사람은 없다는 의사를 드러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우크라이나가 미국의 지원에 감사를 표했고 광물협정도 수용하기로 했다며 “서한을 보내줘 감사하다”고 말했다.
트럼프는 또 “동시에 우리는 러시아와 진지한 논의를 해 왔고 그들이 평화를 이루기 위해 준비돼 있다는 강력한 신호를 받았다. 정말 멋지지 않나”라며 종전 협상이 수월하게 진행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
트럼프와 젤렌스키는 당초 지난달 28일 백악관에서 회담한 뒤 광물협정에 서명할 계획이었지만, 회담 도중 우크라이나 안전 보장을 둘러싸고 설전을 벌이는 바람에 계획이 무산됐다. 협정 불발에 트럼프는 우크라이나에 대한 지원을 잠정 중단하는 것으로 보복했다. 우크라이나에 대한 지원 의사를 고수하고 있는 유럽 국가들조차 젤렌스키에게 광물협정에는 서명해야 한다고 압박했다.
이런 상황에서 젤렌스키가 트럼프에게 서한을 보낸 것은 미국의 지원 중단으로 수세에 몰리자 ‘백기 투항’한 것으로 해석된다. 젤렌스키는 이날 성명에서도 “정상회담은 예상대로 진행되지 않았다. 이런 식으로 일이 벌어진 것은 유감”이라며 트럼프에게 사실상 사과했다. 이어 “광물협정을 확실한 안전 보장을 향한 한 걸음으로 보고 있으며 그것이 효과적으로 작동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회담 직후 사과를 거부했던 것과 광물협정이 안전 보장에 부족하다는 기존 입장을 뒤집은 셈이다.
미국과 트럼프의 역할을 띄우며 저자세를 취하기도 했다. 젤렌스키는 “저와 제 팀은 트럼프의 강력한 리더십 아래에서 지속적인 평화를 이루기 위해 노력할 준비가 돼 있다”며 “미국이 우크라이나의 주권과 독립을 유지하는 데 많은 도움을 준 것에 감사하게 생각한다. 트럼프가 재블린 미사일을 제공해 상황이 바뀐 순간이 기억난다”고 말했다. 두 정상이 긍정적인 견해를 피력함에 따라 광물협정은 이른 시일 내 체결될 것으로 보인다.
김이현 기자 2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