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 규모 군부대 이전이라고 평가받는 대구 군부대 통합이전 사업 최적지로 대구 군위군이 선정됐다. 군위군에서는 밀리터리타운 조성에 따른 인구 증가와 경제 활성화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대구시는 ‘대구 군부대 이전지 선정 평가위원회’ 평가 결과에 따라 군위군을 군부대 이전지로 최종 선정했다고 5일 밝혔다.
앞서 국방부는 1단계로 ‘임무수행가능성’ ‘정주환경’ 평가를 거쳐 대구 군위군, 경북 영천시와 상주시를 예비후보지로 선정했다. 군부대 유치를 통한 약 4600억원의 생산유발 효과와 4000개 이상의 일자리 창출 등을 기대한 기초단체들이 사활을 걸고 유치전을 벌였다. 이전 대상 군부대는 육군 제2작전사령부, 제50사단사령부, 제5군수지원사령부, 공군 제1미사일방어여단, 방공포병학교 등 5곳이다.
대구시가 2단계로 3곳의 예비후보지에 대한 ‘사업성’ ‘수용성’ 평가를 실시해 군위군을 최종 이전지로 선정했다. 대구시는 공정하고 투명한 평가절차 진행을 위해 전문 연구기관인 대구정책연구원에 평가를 위탁했다.
대구정책연구원은 도시개발, 국방군사시설 분야 등의 전문가들로 구성된 대구 군부대 이전지 선정 평가위원회를 구성해 최종 평가를 진행했다. 평가위원회는 군위군의 사업비 최소화 가능성, 인허가 절차 간소화와 민원·갈등 해소를 위한 실질적인 노력 등을 높게 평가했다. 밀리터리타운과 훈련장 주변 주민동의율이 객관적으로 매우 높고 공감대 형성을 위한 노력 등도 뛰어나다고 판단했다.
김동영 평가위원장은 “평가위원들의 공통된 의견은 주민수용성 측면에서 각 지자체별 차이가 크다는 것”이라며 “일부 지자체의 경우 훈련장 수용지역에 대한 주민동의율이 매우 낮아 실질적으로 군부대 이전이 불가능 할 것으로 판단했다”고 밝혔다.
대구시는 내년 상반기 국방부와 합의각서를 체결하는 것을 목표로 군위군 군사시설 이전계획을 구체화하는 등 사업에 속도를 낼 방침이다. 국방부와 긴밀하게 협력해 이전지역에 조성될 미래 통합 군 주둔지 개념을 구체화하는 마스터플랜과 시설기본계획을 마련할 계획이다. 2030년 사업완료가 목표다. 사업은 기부 대 양여 방식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대구시는 군부대 이전지 중 제2작전사령부 터에 경북대병원과 의과대학, 치과대학, 의학연구소를 포함하는 대한민국 최초 의료클러스터를 만드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군부대 이전지 최종 결정으로 민·군 상생의 군부대 이전사업이 더욱 속도감 있게 추진될 것”이라고 말했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