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미국 통상 당국이 조선업 협력을 강화할 범정부 태크스포스(TF)를 마련하는 데 합의하면서 트럼프 2기 행정부 ‘관세 전쟁’에 대응할 지렛대가 마련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3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안덕근 산업부 장관은 지난달 26~28일(현지시간) 미 통상 당국 관계자를 만나 한·미 간 조선업 협력을 논의할 범정부 TF를 구성하자는 뜻을 전달했다. 안 장관은 미국의 관세 조치에 대한 한국 정부의 입장 전달을 위해 미국 워싱턴 DC에서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 등 통상·에너지 분야 고위 관계자를 연쇄 접촉했다.
안 장관은 미국이 군함, 탱커, 쇄빙선 등을 패키지 형태로 장기 대량 주문할 경우 국내 조선사들이 협력해 우선 제작·납품할 수 있다는 제안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또 조선업 협력의 장애물인 미국의 선박 규제를 해소하는 데 시간이 걸리는 만큼 그 이전에 양국이 유연성을 발휘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도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은 한국 정부의 제안에 우호적으로 반응하며 조선업 분야에서 협력을 지속하기로 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미국이 조선업 분야에 큰 관심을 갖고 있어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 것은 사실”이라며 “범정부 TF 구성과 관련해 미국 측에서 어떤 부처가 참여할지는 아직 협의 중”이라고 설명했다.
미국이 한국과의 조선업 협력에 적극적인 배경에는 중국 견제가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중국이 세계 선박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커지면서 미국은 해군력과 안보 측면에서 우려를 느끼고 있다. 산업부 관계자는 “중국은 조선업에서 대량 생산 역량을 갖추고 있는 반면 미국은 조선소 자체가 굉장히 낙후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한국이 ‘조선업 협력’을 관세 전쟁의 협상 카드로 활용할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미국은 한국 조선업체가 보유한 원유, 액화천연가스(LNG) 등 액체 상태 화물을 대량으로 운송하는 탱커 분야에서 자체 제조 기술을 보유하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해 11월 당선인 시절부터 한국에 “선박 수출뿐 아니라 MRO(유지·보수·정비) 분야에서도 긴밀하게 협력할 필요가 있다”며 지속적인 협력을 요청해왔다.
다만 정부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미국의 통상 기조 변화에 대응한다는 입장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조선업 협력을 기반으로 ‘주고받는’ 식의 거래가 가능할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한다”며 “미국 통상 당국과 협의를 진행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밝혔다.
세종=김혜지 기자 heyji@kmib.co.kr